7년 끌어온 취수원 이전 '상생 물꼬' 찾아야

입력 2015-03-19 05:00:00

대구-구미 팽팽한 대립 여전…출범 민관협서 해결책 도출을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을 두고 대구시와 구미시 간의 민관협의회가 출범했지만 결론 도출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두 도시가 취수원 이전에 따른 수질 문제, 물 부족 등에 대해 팽팽히 맞서고 있는데다 구미시는 정부의 취수원 이전 검토보고서에 대한 검증이 우선이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대구시는 민관협의회가 구성된 만큼 7년을 끌어온 취수원 이전 문제가 이번에는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이제 대화의 장이 마련된 만큼 서로 입장을 이해하면서 좋은 방안을 만들어 중앙정부를 움직여야 한다"며 "구미시민의 불편함과 어려움을 해결하는 동시에 대구시민이 걱정하고 두려워하는 물 문제를 풀겠다는 상생의 자세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원진 새누리당 의원은 "그동안 취수원 이전 문제가 지지부진한 것은 대구시만의 문제가 아니다"며 "구미시도 지역이기주의를 보였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결과를 꼭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또 대구시는 민관협의회에 전문가들이 참여하고 있어 객관적인 자료 검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관협의회 소속 민경석 교수(경북대 환경공학과)는 "양측의 각 전문가뿐 아니라 필요하다면 제3의 기관, 전문가를 통해서도 검증할 수 있을 것"이라며 "양측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해 취수원 이전이 필요하다면 이를 실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대구 취수원 이전과 관련, 구미시와 구미 정치권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민관협의회 일정을 두고서도 충분한 시간을 갖고 논의하자는 입장을 보여 갈 길 바쁜 대구시와 대조적인 모습이다.

김태환 새누리당 국회의원은 "대구 취수원을 이전하면 낙동강 수량이 절대적으로 줄어들어 구미의 용수 부족과 환경오염 등을 야기할 수 있어 구미 입장에서는 반대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남유진 구미시장은 "과거 낙동강 오염사고로 대구시민들의 수돗물에 대한 불신이 높지만 지금은 구미시가 낙동강 오염원을 철저히 규제해 별문제가 없다"면서 "오히려 취수원 이전으로 수질오염, 생태계 교란, 농공업용수 부족 등 더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윤종호 민관협의회 구미시위원장은 "7년이나 끌어온 문제를 6개월 안에 해결하자는 대구시의 주장은 말도 안 된다. 얽힌 실타래를 하나하나씩 풀다 보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구미 정창구 기자 jungcg@msnet.co.kr

정욱진 기자 penchok@msnet.co.kr

노경석 기자 nks@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