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 해결을 위한 대구'구미시 민관협의회가 첫 회의를 열었지만, 서로 입장 차만 확인하는 데 그쳤다. 대구시는 6월 말까지 한 달에 두 번씩 협의회 모임을 하자고 제의했다. 반면 구미시는 두 달에 한 번씩 협의회를 열어 1년을 운영기간으로 하자는 견해를 밝혔다. 이는 이미 이 문제가 7년을 끈 만큼 이른 시일 안의 해결은 어렵고, 대구 취수원을 구미로 옮겨도 낙동강 중상류 지역의 용수나 식수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국토부의 용역결과를 믿을 수 없어 이를 검증할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였다.
이 협의회는 국토부 용역결과까지 나온 상황에서 남유진 구미시장이 지난달 갑자기 대구에까지 와 구성을 제안해 만든 것이다. 이 때문에 첫 회의에서 일정부분 내실있는 소통이 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 그러나 각자의 주장만 앞세워 어떤 미래지향적인 이야기도 나누지 못한 것은 실망스럽다. 취수원 이전은 대구시를 비롯한 인근 시군 주민 200만 명의 식수 문제가 걸려 있다. 구미시의 주장처럼 벌써 7년이나 끌어왔기 때문에 이전 기간 등을 생각하면 더는 미룰 수가 없다.
구미시가 첫 출발부터 종래의 주장만 되풀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더구나 1년을 더 논의하자는 것은 이 문제를 논의하지 않겠다는 뜻과 같다. 1년 뒤면 총선과 대선 등 여러 정치 일정이 맞물려 사실상 논의가 어려워서다. 대구시는 이미 구미시의 입장을 최대한 존중해 국토부 용역결과까지 재검토하고 제삼자를 통한 검증도 하겠다고 했다. 구미시도 이 문제를 대화로 풀어갈 자세라면, 국토부 용역 결과를 어떻게 검증할 것인지, 구체적인 요구 조건이 무엇인지 등 이에 상응하는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
구미시가 적극적으로 화답하지 못하는 것에는 여러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대의 급박함을 이용해 마냥 시간 끌기 식으로 가서는 서로 감정의 골만 깊어질 뿐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는 아무 도움이 안 된다. 취수원 이전 문제는 밀고 당기는 정치적인 문제가 아니라 상대의 처지를 이해하고 도우려는 이웃 간 상생의 문제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승적인 차원에서 머리를 맞대 터놓고 대화해 대구와 구미에 모두 도움되는 결론을 끌어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