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태맹의 시와함께] 꽃이 핀다-문태준(1970~ )

입력 2015-03-09 05:00:00

뜰이 고요하다

꽃이 피는 동안은

하루가 볕마른 마루 같다

맨살의 하늘이

해종일

꽃 속으로 들어간다

꽃의 입시울이 젖는다

하늘이

향기 나는 알을

꽃 속에 슬어놓는다

그리운 이 만나는 일 저처럼이면 좋다

(『가재미』, 문학과 지성사, 2006)

이 시는 읽을수록 아프다. 아름다움 때문이 아니라 꽃을 기다리는, 꽃이 보고 싶은 시적 화자의 공허함 때문에 아프다. 봄꽃은 쓸쓸함에게 오히려 그의 그늘을 드리우고 있다.

봄볕이 따뜻한 마루에 앉아 시의 화자는 막 열리고 있는 꽃들을 바라보고 있다. 사방은 고요하고 뜰은 개화에만 몰두하고 있다. 그러나 시의 화자는 딴생각에 빠져 있는 듯하다. 그리하여 다가오는 시적 사물들은 파편화되고, 그 사이사이를 보이지 않는 생각들이 벌여놓고 있다. 그 생각들은 맨살의 하늘, 꽃 속으로 들어가는 하늘, 젖은 꽃술, 향기나는 알을 슬어놓는 하늘 등 표상되지 않는 이미지들로 나타나 있다. 무엇이 그를 하늘-꽃-향기의 상투적 틀 속으로 끌어당기고 있을까.

몇 개월의 겨울 추위를 지나고 지금 우리는 봄을 기다리고 있다. 기다림은 단지 수동적인 받아들임만은 아닐 것이다. 그것은 앞으로 나아감이고 기대이고 손을 뻗는 환대일 것이다. 그러나 시의 화자는 그 봄과 기다림이 저처럼이면 고 말한다. 저처럼이면 라고 표현하지 않는다. 전자가 단지 규정하고 바라보는 태도라면 후자는 손을 내밀고 한발 내디디는 희망이다. 내가 움직이지 않는 봄이나 희망은 관념일 뿐인 것이다. 단지 시의 문제만은 아닐 것이다.

시인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