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삼중 대비·안전요원 철저 교육…안전 책임지는 핵심 멤버들

입력 2015-03-06 05:00:00

안전설비 지휘 최흥곤 팀장
안전설비 지휘 최흥곤 팀장
안전요원 교육 정경일 부장
안전요원 교육 정경일 부장

대구도시철도건설본부에서 3호선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최흥곤(57) 차량신호과 차량팀장과 정경일(54) 경전철사업처 차량관리부장. 최 팀장은 3호선 모노레일과 전동차 등에 안전설비를 도입하는 업무를 지휘했고, 정 부장은 3호선 개통 후 현장 안전을 책임질 안전요원에 대한 교육을 맡았다.

최 팀장은 3호선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모든 운행 과정은 물론 화재와 눈 등 자연재해에 대비해 이중 삼중으로 안전장치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대구는 지하철 화재 참사의 경험이 있기 때문에 특히 화재 안전에 중점을 뒀습니다. 전동차 내부의 의자와 내장재, 바닥재, 단열재 등을 불에 잘 타지 않는 불연재를 사용하고, 다른 도시철도에는 없는 워터미스트까지 전동차에 도입했습니다. 대구소방안전본부와 함께 직접 시연하면서 고압으로 분사되는 스프링클러의 진화 능력에 대한 검증도 마쳤습니다."

아울러 최 팀장은 "시민들이 불안해하는 무인시스템은 부산 4호선과 용인'의정부의 경전철 등지에서 이미 도입돼 큰 문제없이 운영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 부장은 3호선이 개통되면 안전요원은 시민과 가장 가까이에서 안전지킴이 역할을 한다고 했다. 이 때문에 안전요원이 비상상황 때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교육에 힘을 쏟고 있다.

"탈출 장비 사용과 비상운전 등에 대한 반복 훈련이 중요합니다. 그래야 몸에 익고 위급할 때 대응을 제대로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400시간 교육을 했는데, 특히 이론(140시간)보다 실습(260시간)에 중점을 뒀습니다. 전동차 사이에 발판과 전기 등을 잇는 구원연결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훈련을 여러 차례 벌였고, 한 사람씩 스파이럴 슈트를 직접 꺼내서 설치하도록 했습니다."

정 부장은 "3호선만의 안전매뉴얼을 만들고 있고, 연간 교육계획도 짜고 있다"며 "수동운전은 주기적으로 숙달 훈련을 해야 자격이 유지가 되기 때문에 앞으로 교육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했다.

서광호 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