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산물센터 이전 '山으로 가나'

입력 2015-03-05 05:00:00

수협중앙회·동구청·주민 갈등…교통 해결책 못찾아 갈팡질팡

대구 수산물센터(본지 1월 30일 자 6면 보도) 이전 사업이 사업 주체인 수협중앙회와 주민들의 갈등으로 뚜렷한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전 예정지 주민 반발로 주민설명회는 무산됐고, 동구청은 강도 높은 교통 혼잡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수협은 당초 지난달 구청에 제출하려던 건축허가 신청을 아직 추진하지 못한 채 손을 놓고 있다.

하지만 수협 측이 이번 주부터 예정 부지 터 다지기 공사에 들어가 주민 반발을 불러오고 있다.

수협 측은 동구 용계동 이전 예정지 부지 외곽에 4m 높이의 가림막 공사를 하고 있으며 주변에 "부지 정지 공사를 시작하기 때문에 주차된 차를 이동하고 농작물 등 적치물을 철거해 달라"고 적힌 현수막을 내걸었다.

주민들은 설명회가 사실상 무산된 마당에 건축허가 없이 부지 정지 공사를 시작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앞서 수협은 1월 29일 주민센터에서 주민을 상대로 사업설명회를 열었지만 질의응답 도중 주민들이 반대하면서 집단 퇴장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한 주민은 "수산물센터는 사실상 동구 신암동의 수협공판장이 옮겨오는 것으로 악취와 소음은 물론 교통 혼잡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며 "이런데도 주민들이 납득할 만한 설명을 하지 않고 부지 정지 공사를 벌이는 것은 사업을 밀어붙이겠다는 의도"라고 했다.

동구청도 예정 부지 앞 반야월로(왕복 4차로)가 상습 정체 구간이기 때문에 혼잡 해소 대책을 수립하지 않으면 건축 허가를 불허한다는 입장이다.

수협은 지난 1월 밝힌 사업계획서에서 ▷사업지 입구 신호 교차로 신설 ▷반야월로 가속차로 설치(폭 3m, 길이 51m) ▷이면도로 폭 확장(폭 8→12m, 길이 80m) 등의 교통대책을 내놓은 바 있다.

하지만 구청 측은 반야월로 가속차로를 '2개 차로'로 확보하고, 수산물센터 예정 부지 북쪽에 반야월 삼거리 방향으로 빠지는 '우회도로'(폭 6m)를 추가로 마련해야 실효성 있는 교통대책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수협 측은 주민 반대와 구청의 요구에 난감하다는 반응이다. 수산물센터는 현대화된 시설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악취와 소음이 없고, 우회도로는 애초 구청의 계획도로에 포함돼 있어 수협이 비용을 부담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수협 관계자는 "예정 부지 안에 쓰레기 투기와 불법 경작이 심해 이를 막기 위해 가림막을 설치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 "구청이 바라는 우회도로를 놓으려면 최소 30억원이 추가로 필요하다. 하지만 수산물센터는 국비를 받아 진행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기획재정부가 승인해야 하는데 기재부가 이 우회도로 건설비용을 용납할지 의문이다"고 했다.

수협중앙회는 동구 용계동 1만3천294㎡ 부지에 내년 10월 준공 예정으로 380억원(국비 50%)의 예산을 들여 지하 1층~지상 5층 규모의 수산물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서광호 기자 kozmo@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