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설비 철거" 약속 공장 임대…자체 기계 들일 자리없어 발동동
울릉군 소유 공장건물을 임대한 한 중소기업이 공장을 가동 한 번 못하고 도산할 위기에 처했다. 부실한 공장(본지 2014년 5월 7일 자 7면, 9월 17일 자 4면, 10월 1일 자 3면 보도)을 민간에 떠넘긴 울릉군의 무책임한 행정 탓이다.
울릉군은 2012년 도비와 군비 33억원을 들여 서면 남양리에 산채가공공장을 지었다. 특산 산나물을 고급화하고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시설이다. 그러나 준공한 지 2년이 넘도록 가동 한 번 못했다. 13억원에 이르는 건조 설비의 결함 때문이었다.
울릉군은 지난해 6월 설비 결함이 있는 채로 이 공장을 민간위탁하기 위한 공개입찰을 진행, 음료 생산을 준비 중인 A업체를 낙찰했다. 군이 해당 설비를 철거해준다는 조건이었다. 공장의 용도가 달라진 만큼, 정화조 용량 확장과 전기시설 감압 등도 약속했다.
그러나 울릉군은 8개월이 지나도록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다. A업체는 이 같은 이유로 도산할 위기에 처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업체에 따르면 계약 직후 A업체는 산나물 건조 설비를 철거하고 나면 넣을 11억원 상당의 음료제조 설비 제작에 들어갔다. 음료수 캔 등 패키지 디자인도 의뢰하고 직원도 새로 뽑았다.
그러나 이 업체는 지금까지 공장을 가동하지 못했다. 기존 설비를 철거하지 않으면 음료생산 설비를 들일 공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결국 설비 제작을 위한 계약금 3억5천만원과 직원 12명의 인건비, 공장 사용료 등 손실액을 추산하면 12억원에 달한다는 게 이 업체의 주장이다. 중소기업청의 '2014년 산학연협력 기술개발사업'에 선정돼 6천여만원을 지원받을 기회도 놓칠 위기에 처했다.
A업체 측은 "1년이 돼 가도록 조금만 기다려달라는 말만 되풀이하더니, 이제 와서 울릉군이 설비를 철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내놨다"며 "기존 설비를 철거하지 않고서는 다른 기계를 놓을 자리가 없는데, 철거에 대한 약속이 없었다면 아예 계약조차 하지 않았을 것인데 울릉군의 무책임한 행정 때문에 결국 도산 위기에 처했다"고 하소연했다.
이에 대해 울릉군 관계자는 "담당 직원이 문서가 아닌 말로 이야기한 것을 행정행위로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며 설비 철거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울릉 김도훈 기자 hoo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