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 트윈폴리오를 다룬 영화'쎄시봉'을 봤다. 영화 '국제시장'은 50대 중반을 바라보는 중장년층에게 부모님 세대의 아픔을 돌아볼 수 있게 한 영화인 데 비해 '쎄시봉'은 우리 세대의 젊은 시절 추억을 떠올리며 향수를 느끼게 한 영화였다. 힘들고 궁핍한 시절이었어도 돌아갈 수 없는 날들은 그립고 아쉽기 마련이다.
어떤 분은 1960, 70년대가 우리에게 좋은 추억으로 다가오는 이유에 대해 그 당시는 모두 힘들어도 희망과 꿈이 넘쳤지만, 지금은 경제적, 문화적으로 풍요로워도 너무나 각박해 희망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라고 했다.
최근 우리나라에 복고 열풍이 불고 있는 것 같다. 1945년 해방 후 한국전쟁과 재건, 산업화, 민주화 등 뒤돌아 볼 틈도 없이 앞으로만 달리며 선진국 문턱까지 압축 성장을 한 대한민국의 주역들이 어느덧 인생의 후반기와 황혼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들은 자신보다는 국가와 가족을 위해 한평생 희생과 열정을 바친 세대로 이제는 자신을 위한 여유로운 삶이 필요하다.
어느 신문의 '웰에이징'(Well-Aging)이라는 섹션에서'100세 시대 행복하게 사는 법'이란 기사를 읽었다. 우리는 개인이 사람답게 사는 '웰빙'(Well-Being)과 '웰에이징', 그리고 사람답게 죽는 '웰다잉'(Well-Dying)을 거치는 시대를 맞고 있다. 한때 '안티에이징'(Anti-Aging)이 주목받았다. 그러나 안티에이징이 인위적으로 자연의 노화를 거스르는 육체의 노화방지라면 웰에이징은 노화를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그에 걸맞게 건강을 유지하며 장수하는 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현대 의학의 눈부신 발전과 다양한 건강법의 등장으로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날로 늘어나고 있다. 길어지는 수명만큼'건강하게 그리고 나이에 걸맞은 멋진 인생을 살아가겠다'는 실버층의 욕구가 점점 더 커지는 것이다.
평균수명은 해가 갈수록 늘어나 지난해 OECD는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이 81.3세로 최근 5년간 1.9년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기대수명보다 더 중요한 것은 건강수명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기대수명(81.3세)과 건강수명(70.7세)의 차이가 약 10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한평생 살면서 평균 10년간 질병을 앓고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당뇨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과 암이 주된 원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생활습관과 질병예방 및 관리에 대한 개인과 사회 안전망 구축이 필요하다. 수명이 늘어나면서 건강을 필수적으로 신경 써야 하는 시대다.
100세 시대를 맞이해 인생의 후반기가 매우 길고 중요해졌다. 나이 들어서도 건강한 삶이 되려면 건강할 때 지켜야 한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웰에이징 즉 건강수명이 주목받는 이유이다.
고석봉 대구가톨릭대병원 산부인과 교수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