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 관등제 성립 등 역사 가치 높아…문화재청 찰주본기 등 13건 보물로
문화재청은 포항 중성리 신라비를 보물에서 국보로 승격하고, 신라 때 황룡사 구층목탑을 수리하면서 그 내력을 적은 찰주본기(刹柱本記)는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26일 밝혔다.
2009년 5월, 공사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된 중성리 신라비는 1면 12행에 걸쳐 모두 203자를 새긴 것이다. 신라 관등제의 성립 과정, 신라 6부의 내부 구조와 지방 통치, 사건 판결 후 재발 방지 조치 등 신라의 정치'경제'문화상을 담고 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은 사료다.
중성리비는 판독과 해석에 논란이 있어 정확한 제작 건립 시점을 둘러싸고 논란도 있다. 하지만 이미 국보로 지정된, 지증왕 4년(503년)에 작성된 포항 냉수리 신라비, 법흥왕 11년(524년)에 작성된 울진 봉평리 신라비보다 앞선 지증왕 2년(501년)에 세운 것으로 봐야 한다는 견해가 우세하다.
아울러 문화재청은 국립경주박물관 소장 '황룡사 구층목탑 찰주본기'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 최근 이천 영원사에서 우연히 재발견된 경주 남산 창림사 삼층석탑 조성 내력기인 '금동국왕경응조무구정탑원기' 등 13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찰주본기는 경문왕 11년(872년)에 구층목탑을 중수하면서 이 탑의 건립 과정과 중수 과정을 적은 국보급 유물로 평가되지만, 이제야 보물 지정이 예고됐다.
경주 이채수 기자 csl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