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각·비서실장 동시 인선 '카드' 무산, 후임 거론 인물도 흠집 잡힐 가능성
박근혜 대통령이 17일 소폭 개각과 함께 김기춘 비서실장 교체 및 후임 인사를 단행할 것이라는 예상을 벗어나 설 연휴 이후로 후임 발표를 미룬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두현 청와대 홍보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김기춘 실장은 그동안 몇 차례 사의를 표명했고 박 대통령도 이를 받아들이신 것으로 안다"며 "후임 실장은 설 연휴가 지난 뒤 적절한 시일을 택해 발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동안 청와대 측근 실세의 인사개입 의혹 및 인사파동, 행정관을 비롯한 비서실의 잇단 물의 등으로 청와대의 공직기강에 대한 책임론과 인적쇄신론이 강하게 제기됐다. 또 박 대통령의 지지율도 급락하면서 비서실장 교체카드를 통해 설 이후 국정동력 회복을 꾀할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렸다.
하지만 개각과 함께 비서실장 인선을 발표함으로써 정윤회 씨의 국정개입 의혹을 담은 청와대 문건유출 파동 이후 위기국면을 인적쇄신을 통해 돌파하겠다는 청와대의 구상은 일단 불발됐다.
이처럼 박 대통령이 후임 비서실장 인선 발표를 미룬 배경에는 야심 차게 띄운 이완구 총리카드가 청문회를 통한 여러 의혹제기와 어설픈 대응 등으로 빛이 바랜 것이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현재 청와대 안팎에서 후임 비서실장으로 거론되는 인물들 중 상당수가 야당 등으로부터 비판의 대상이 되거나 흠집이 잡힐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려운 측면도 한몫한 것으로 전해졌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영록 수석대변인은 17일 "인적쇄신의 핵심인 비서실장을 함께 발표하지 않은 것은 국민이 신뢰할 만한 인물을 고르지 않고 좌고우면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의심스럽다"며 "거론되는 후보도 '그 나물에 그 밥'이어서 국민의 쇄신 요구에 부합하는 인물인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박 대통령은 청와대 인적시스템 문제와 소통 미흡에 대한 악화된 여론을 추슬러 위기국면을 돌파하고 경제활성화와 4대 구조개혁 등 국정 현안을 속도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고심을 거듭하더라도 최적의 후임 비서실장을 골라야 할 상황에 직면한 것으로 보인다.
김병구 기자 kbg@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