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국무총리 임명동의안이 국회 본회의를 가까스로 통과했다. 이 후보자의 인준 찬성률은 52.7%로 정홍원 전 총리 인준 당시의 72.4%를 크게 밑돈다. 게다가 새누리당에서 최소한 7명의 이탈표(반대 또는 무효표)가 나왔다는 분석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이 방침을 바꿔 인준 표결에 참여한 덕분에 이 후보자는 여당의 과반의석수가 만들어준 '반쪽 총리'라는 오명을 쓰지는 않게 됐지만 '힘 있는' 총리가 되기는 어렵게 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 후보자의 인준을 보는 국민의 마음은 혼란스럽다. 그를 총리로 인정해야 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쉽게 판단이 서지 않는다. 청문회 과정에서 드러난 부동산 투기와 본인 및 차남의 병역 문제, 김영란법에 대한 저열한 인식과 수준 이하의 언론관 등은 그를 총리로 인정하는데 주저하게 만든다. 설사 총리로 인정한다 해도 도덕적으로 상처투성이인 이 후보자가 과연 총리 역할을 제대로 할 것이냐는 의구심 또한 떨치지 못한다.
그렇다고 경제 활성화와 공공개혁 등 시급히 추진해야 할 국정과제가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 흠 없는 인물이 나올 때까지 마냥 기다리고 있을 수만 없지 않으냐는 '현실론'도 무시할 수 없는 무게로 다가온다. 만약 이 후보자가 국회 인준을 통과하지 못했다면 새 총리 물색은 물론 후속 개각도 상당 기간 미뤄질 수밖에 없다. 그만큼 국정 운영도 차질을 빚는다.
이런 국민의 어지러운 마음을 위안할 수 있는 길은 이 후보자가 박근혜 대통령을 잘 보좌해 국정을 차질없이 운영하는 것밖에 없다. 국민도 "문제가 있지만, 이왕 총리가 됐으니 잘해주기를 바랄 수밖에"라는 심경이다. 그런 만큼 이 후보자는 마음을 단단히 먹어야 한다. 할 말 못하는 '대독 총리'가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 후보자는 지명 직후 박 대통령에게 쓴소리도 마다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것이 총리 지명에 따른 으레 해본 소리가 아니라는 것을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 이는 박 대통령이 이 후보자를 발탁한 것이 처음에는 잘못한 결정이었으나 결과적으로는 좋은 결정이었다는 평가를 받게 할 수 있다. 이 후보자의 분발을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