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참사 12년… 추모재단 내달 설립 합의

입력 2015-02-17 05:00:00

피해자 단체 4곳 모두 참여…남은 국민성금 109억 운영

대구지하철 화재사고 발생 12년 만에 사고 수습을 마무리할 수 있게 됐다.

대구시는 16일 "2003년 2월 18일 대구지하철 화재사고가 발생한 지 12년 만에 피해자 단체 간 합의가 이루어져 추모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할 재단을 설립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대구지하철참사희생자대책위원회, 2'18대구지하철참사유족회, 부상자가족대책위원회, 비상대책위원회 등 피해자 단체 4곳이 모두 참여하는 가칭 '2'18 안전문화재단'이 다음 달 설립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이사진 구성 문제로 피해자 단체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대구지하철 화재사고 관련 재단이 설립되지 못했다.

이번에 피해자 단체가 합의한 임원 구성은 모두 13명(이사 11명, 감사 2명)으로 이사는 김태일 영남대 교수, 김경민 YMCA 사무총장 등 공익 관련 인사 4명과 희생자대책위(3명), 2'18유족회(2명), 비상대책위(1명), 부상자대책위(1명) 등 피해자단체 대표 7명이다. 이 중 2'18유족회는 유족회 회원이 직접 이사에 참여하지 않고, 안전 관련 전문가 2명을 추천하기로 했다.

2'18 안전문화재단은 재난 피해자들을 위한 장학 및 안전복지사업, 안전, 방재 관련 학술'연구'기술지원사업, 안전 문화 활동의 육성'지원사업, 추모공원 조성 등 추모사업, 2'18 안전주간 운영 등 안전의식 고취를 위한 사업 등을 추진하게 된다. 재단은 대구시 지하철 화재사고 국민성금기금 670억원 중 집행되지 않고 남은 109억원을 출연금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대구시는 재단 설립과는 별도로 지하철 중앙로역 사고 현장에 추모벽 설치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데, 올 9월이면 완공될 것으로 보인다. 추모벽 설치 사업비는 5억2천만원으로 현재 대구도시철도공사가 사업자 선정 중이다.

지금까지 각각 진행해온 추모행사도 올해부턴 4개 단체가 함께 개최할 예정이다. 지하철 화재사고 12주년 추모행사는 18일 오전 유족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시장으로서는 10년 만에 추모행사에 참석할 계획이다.

권 시장은 이날 담화문을 통해 "대구시민을 대표하는 시장으로서 사고와 수습, 추모사업 추진 과정에서 겪었던 그간의 모든 고통과 혼란에 대해 사과한다"고 했다. 또 피해자 단체들의 요구가 없었는데도 재단이 빠른 시일 내에 정상화될 수 있도록 앞으로 5년간 사업비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권 시장은 "이번 피해자 단체 간 합의 및 재단 설립으로 화재사고에 대한 추모와 기억뿐 아니라 대구가 안전과 생명의 도시로 나아가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역사의 아픔은 반성하고 성찰해야 발전적 미래로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 사고는 2003년 2월 18일 중앙로역 지하철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로 사망자 192명, 부상자 151명 등 총 343명의 사상자를 냈다.

이호준 기자 hoper@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