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경북, 작년 건축허가 2만 건…최근 10년 사이 최대치

입력 2015-02-04 05:00:00

#경북도청 공무원 A씨는 새 도청사 옆에 혼자 살 집을 찾아다니다 잇따라 낭패를 겪었다. 분양 물량이 쏟아지는데도 순식간에 물량이 동나버리는 것이다. "불과 며칠 전 288채 중 10채 남았다던 오피스텔은 금세 사라져버렸다. 이러다 집을 못 구할까 싶어 걱정입니다."

# 좀처럼 매기가 없던 김천혁신도시 토지 분양은 최근 불이 붙었다. 좋은 자리를 두고는 경쟁 양상이 빚어지면서 '분양 자격 요건' 시비까지 벌어질 정도다. 이달 추가분 공동주택용지에 이어 도청 이전 신도시 상업용지 분양이 3월이면 시작되는 가운데 땅 구입 문의가 빗발치고 있다. 분양을 맡은 경북개발공사는 지난해에 이어 또다시 조기 완판을 확신하고 있다.

포항'구미'경산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아파트가 귀하던 경북도내에 아파트'오피스텔 등 주거시설이 폭증하고 있다. 주거시설이 늘어나면서 덩달아 다른 건축물을 짓겠다는 허가신청도 급팽창 중이다. 저금리에 따른 '돈의 대이동' 현상과 함께 도청 신도시'김천 혁신도시 등 전국적 관심을 끌고 있는 경북의 개발수요가 이 같은 현상에 기름을 붓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런 가운데 주택'건축물이 갑자기 늘어나면서 경북도의 지방세 수입이 최근 1, 2년간 급증해 전반적 '경기 불황 속 세수 호황'이라는 기현상을 낳고 있다.

경북도가 이달 만든 '부동산 경기 동향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10월 기준) 아파트 사업승인(2만400여 가구)은 전년(1만1천 가구) 대비 84%, 분양승인(1만8천 가구)은 전년(1만1천 가구)보다 59%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아파트는 사업승인'분양이후 2, 3년 시차를 두고 경북도내에 들어서게 된다.

주거시설이 건설 경기를 이끌면서 지난해 아파트를 제외한 경북도내 건축허가는 2만55건까지 올라갔다. 금융위기 이후는 물론, 최근 10년 새 최대치다. 경북도내 건축허가 건수는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만5천622건까지 떨어졌지만 지난해 이보다 30% 이상 급등했다.

경북도내 한 은행 지점장은 "금리가 계속 내림세를 타면서 돈이 금융회사 내 금고를 빠져나가 은행금리'투자상품 수익률을 뛰어넘는 부동산으로 향하고 있다"며 "금리가 당분간 오를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부동산으로의 돈 쏠림 현상은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집 짓는 소리도 계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라고 했다.

한편 건축물 증가와 연동하는 취득세가 최근 많이 걷히면서 경북도의 지방세 세수는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7천984억원에 비해 2배 가까이 늘어난 1조5천388억원을 기록했다. 경북도는 사업승인 받은 물량이 많아 향후 몇 년간 지방세수 증가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최경철 기자 koala@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