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남미의 섬나라 쿠바는 미국 남부 플로리다 주에서 145㎞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두 나라 사이의 거리는 포항~울릉 거리(217㎞)보다도 짧다.
하지만 지난 50여 년간 두 나라는 더 없는 앙숙이었다. 두 나라는 반미주의자였던 피델 카스트로가 집권한 후 1961년 단교했다. 미국은 이후 쿠바인 망명을 거의 무제한 받아들이면서 카스트로 정권과 대립했다. 쿠바 땅을 벗어나기만 하면 피란권을 인정받아 미국에 영주할 수 있었다. 쿠바발 '보트피플'은 미국 입장에선 카스트로 체제를 거부하는 좋은 수단이었고, 카스트로에겐 눈엣가시 같은 존재였다.
그렇다 보니 카스트로 체제에 불만을 느낀 쿠바인들은 너도나도 쿠바땅을 등지는 배에 몸을 실었다. 1960~1980년 사이 쿠바를 떠나 미국에 정착한 난민은 수십만 명에 이른다. '보트피플'이 절정을 이뤘던 1982년에는 반년 만에 12만5천 명이 쿠바를 떠나 미국에 정착했다.
외교 관계는 없었지만 카스트로는 늘 미국에 항의했다. 1995년 클린턴 행정부는 한발 물러섰다. 쿠바 정부와 '젖은 발, 마른 발'(Wet feet, dry feet) 정책에 합의했다. 아직 미국 땅을 밟지 못한 채 해상에서 발견된 '보트피플'은 쿠바나 제3국으로 보내고, 미국 땅을 밟은 난민에게만 미국에 체류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정책이었다. 이전 쿠바 땅만 벗어나면 미 연안경비대가 낚아채듯 데려와 영주권을 주던 정책에서 후퇴한 것이다.
지난주 쿠바 수도 아바나에선 미국과 쿠바의 국교 정상화를 위한 첫 회담이 열렸다. 지난해 12월 두 나라가 국교 정상화에 합의한 후 열린 첫 회담이었지만 성과는 없었다. 그 이유 중 하나가 이른바 '젖은 발 마른 발' 정책이다. 미국은 수교 후에도 이 정책을 유지하겠다고 고집했고 쿠바는 폐지해야 한다고 맞섰다. 쿠바의 주장은 이 정책이 쿠바인의 탈쿠바 행렬을 부추긴다는 이유에서다.
53년이란 간극은 크고 넓다. 한술 밥에 배가 부를 리도 없다. 아무런 신뢰 없이 50여 년 세월을 보냈으니 이를 극복하기가 쉽지만은 않다. 그래도 미국과 쿠바의 앙숙관계가 풀리는 것은 시간문제다. 미국인이 언제든 쿠바를 찾을 수 있고 쿠바인의 미국 방문도 자유롭게 된다. 국교 회복으로 서로 얻을 것이 많다는 공감대도 형성돼 있다. 문제는 한반도다. 남북한은 올해 분단 70년을 맞았다. 그래도 공감대를 읽기 어렵고, 앙숙의 끝도 보이지 않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