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6시 50분.
돼지고기를 재료로 여러 안주를 만들어 야간영업을 하는 술집. 영업 준비를 마친 종업원들이 한자리에 둘러앉아 홀 한쪽 벽에 붙은 TV를 시청하고 있다. 손님들이 들어서자 종업원 한 명이 고개를 돌리며 "7시부터 영업합니다"고 말하고 시선을 다시 TV화면에 고정한다.
"그래요? 앉아 있다가 7시에 주문할게요."
"7시부터 손님 받는다니까요? 7시에 오세요."
영업시간이 그렇다니 할 수 없다. 손님들은 밖으로 나갔고, 다시 그 술집으로 들어가지 않았다.
낮 12시.
점심식사를 위해 직원들이 사무실 자리에서 우르르 일어난다. 누구도 사무실 에어컨을 끄거나 전등을 끄지 않는다. 더운 점심을 먹고 들어왔을 때 사무실이 시원해야 바로 일을 시작할 수 있기 때문만은 아니다. 사무실을 비울 때 에어컨이나 난방기, 형광등을 꺼야 한다는 것 자체를 의식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 매장의 월급날.
일과를 마칠 무렵 사장은 직원들에게 한 달치 월급을 지불했다. 월급을 받은 한 아르바이트 직원 "저, 내일부터는 못 나옵니다. 사정이 생겨서요." 사장 "야 이 친구야, 그러면 미리 이야기했어야 할 거 아냐? 당장 내일부터 못 나온다고 하면 어떡해? 사람을 구할 틈은 있어야 할 거 아냐? 사람 구할 때까지 한 며칠 더 일해!"
아르바이트 직원은 묵묵부답이다. 그리고 다음 날 출근하지 않았다. 전화를 받지도 않았다. 위 세 사례는 기자가 직접 목격한 것으로 우리 사회 곳곳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장면이다.
후안무치한 '갑'만큼이나 게으르고 무책임한 '을'도 많다. '을'이 최소한의 주인의식을 가졌다면, 인간적 도리라는 걸 안다면 저런 태도를 보이지는 않았을 것이다. 아직 나이가 어려서 몰랐을 수 있다. 그러나 그 '모름'을 지적했을 때 상당수 '을'은 스스로를 돌아보는 대신 자신을 '피해자'로, 상대를 '갑질을 일삼는 나쁜 사람'으로 간주해버린다. 그래야 자신의 게으름과 무책임한 태도를 스스로 변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영업을 하는 사람들은 종업원들을 두고 '상전도 그런 상전이 없다'고 하소연한다.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땅콩 회항 논란 후 한국사회에 갑질 비판이 거세다. 비판을 넘어 광풍에까지 이르고 보니 갑의 정당한 지적이나 지시, 처분조차 갑질로 매도되거나 마땅히 을이 수행해야 할 임무조차 '약자의 슬픔'으로 변질되기도 한다. '갑질'은 우리 사회를 분노케 하고, '을질'은 우리 사회를 좀먹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