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통령 신년 기자회견…靑 인적쇄신 어떤 말 나올까

입력 2015-01-12 06:05:56

집권 3년차 국정운영 구상, 항명 사태 입장 표명 불가피

박근혜 대통령이 12일 오전 신년 기자회견에서 남북관계 정상화 및 경제활성화 방안과 함께 최근 민정수석 항명 파동과 관련한 인적쇄신안을 내놓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집권 3년 차를 맞아 국정 운영 구상을 밝히는 기자회견에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의 차질 없는 이행을 통해 경제활성화에 올인하고, 향후 30년의 경제 기반을 쌓기 위해 공무원연금 개혁을 포함한 노동'금융'교육'공공 부문 등 4대 핵심 분야 구조 개혁을 통한 경제 체질 개선책을 내놓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올해가 광복 70주년 및 분단 70년을 맞는 해인데다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이달 1일 신년사에서 남북정상회담을 포함한 남북대화에 적극 나설 것을 천명한 만큼 박 대통령이 남북 고위급 접촉 재개를 비롯한 실질적인 대화 등 대북 구상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반면 최근까지 청와대 인적쇄신과 관련한 구체적인 언급은 이날 신년 기자회견에서 나오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했다. 검찰 수사 결과 비선실세로 거론된 정윤회 씨의 국정개입 의혹과 '문고리 3인방'을 둘러싼 의혹이 사실무근으로 발표됐고, 박 대통령의 측근 3인방에 대한 신뢰가 강한데다 국면 전환용 인사에도 부정적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영한 전 민정수석의 국회 불출석과 갑작스러운 사표 제출 등 항명 파동이 불거지면서 청와대 인사 개편에 대한 박 대통령의 입장 표명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윤회 씨 문건 유출의 전 과정이 민정수석 산하 공직기강비서관실 등 청와대 내부에서 모두 이뤄졌고, 이와 관련된 인사들 역시 청와대 인사 시스템에 의해 선임된 만큼 청와대의 인적쇄신에 대한 압박은 정치권은 물론 국민 여론을 통해서도 나타나고 있다.

인적쇄신론의 중심에는 민정수석을 비롯한 수석들을 총괄 지휘하는 김기춘 비서실장의 책임론이 강하게 대두되고 있다. 또 박 대통령 취임 초부터 함께해 온 주철기 외교안보수석과 유민봉 국정기획수석 등도 인사 개편 대상으로 오르내리고 있다. 이와 관련, 청와대 출입기자들의 인적쇄신과 관련한 질문도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정치권에서 거론되고 있는 국무총리를 포함한 중폭의 개각이나 청와대 비서진의 대대적인 개편 등의 경우 인사 검증 등 절차가 상당히 걸리는 만큼 박 대통령이 구체적인 인사개편 방안을 제시하기보다는 인적쇄신의 당위성이나 방향에 대해 원칙론적인 언급만 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병구 기자 kbg@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