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여건 각종 조사서 임금 수준 2008년부터 꼴찌
대구지역 근로자의 임금여건이 수년간 전국 꼴찌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중소 제조업종 가운데 월급여가 낮은 업종이 대구에 상대적으로 많이 몰려 있어서다.
대구 근로자들은 타지역에 비해 적게 벌면서 일은 더 하는 악순환에 허덕이고 있다. 장시간 일해야 하는 노동집약형 업체가 많은 반면 지식기반 업종은 적어서다.
고용노동부의 지역별 사업체 노동력 조사(4월 기준,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 중심)에 따르면 대구 근로자의 월 평균급여액은 235만2천원으로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15개 시'도 중 가장 낮았다. 2008년부터 만년 꼴찌 신세다.
상용근로자 1인당 근로시간(2014년 4월 기준)은 191.2시간으로 전국 평균(187.9시간)보다 3.3시간 더 길었다. 4월 한 달간 총 상용근로일수 역시 22.8일로 제주도(23.3일) 다음으로 많았다.
이처럼 일은 많이 하고도 급여가 낮은 대구 지역의 노동환경은 '업종'에서 찾을 수 있다. 상대적으로 월급여가 낮은 업종에 일하는 이들이 많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최근 1천300개 중소제조업체(종사자 20∼299인)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중소제조업체가 지난 9월 지급한 평균 월급여(특별급여 제외)는 작년 9월보다 4.4% 상승한 229만1천원이었다. 통계청 분류에 따른 22개 제조업종을 살펴보면 코크스'연탄'석유정제품이 259만5천원으로 가장 높았고, 식료품이 193만7천원으로 가장 낮았다.
이 순위를 지역별 종사자 수(2012년 통계청 기준)와 비교해보면 대구 지역의 근로자 임금이 특히 낮다. 평균 월급여가 낮은 하위 5개 업종(식료품, 의복'액세사리'모피, 인쇄 및 기록매체복제, 목재 및 나무제품, 섬유제품/기타제품 제외)에 근로자가 많이 몰려 지역 전체 16만8천456명 가운데 27.42%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상위 5개 업종의 지역 근로자 차지 비율은 7.93%에 불과하다. 상하위 10개 업종으로 확대하면 대구 제조업종 근로자 약 70%가 월급여 하위 10개 업종에 근무 중이다.
타지역과 비교해도 저임금 업종비율이 대구가 높다. 월 급여가 194만6천785원인 의복'액세사리'모피 업종에는 전국 14만1천465명 근로자 가운데 6천356명이 대구 지역으로 서울과 경기도, 부산에 이어 네 번째로 많았다. 특히 주요 산업인 섬유업종은 평균 월급여가 216만2천554원으로 22개 업종 중 18번째로 임금이 낮은 업종이다. 이 업종에 대구는 2만5천763명이 몰려 전체(14만1천489명)의 18.2%를 차지했다. 15개 시도 가운데 두 번째로 많다.
평균 월급여가 높은 상위 5개 업종(코크스'연탄'석유정제품, 1차금속, 의료'정밀'확학기기'시계, 비금속광물제품'화학물질 및 화학제품)은 경기도와 울산, 전라남'북, 경상도, 충청도 등에 골고루 분포돼 있었다.
대구상의 관계자는 "전라도는 석유화학 대기업이 있고 울산과 포항은 현대자동차와 포스코, 경남은 조선 등 대표적인 리더산업과 대기업이 포진해 있다"며 "결국 대구는 임금이 낮은 업종의 업체가 몰리고 근로자도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노경석 기자 nk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