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령별 문화행복지수는?… "100점 만점에 몇 점?"

입력 2014-12-19 08:45:51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연령별 문화행복지수는 어떨까? "100점 만점에 몇 점?"

연령별 문화행복지수

연령별 문화행복지수는 어떨까?

전국 17개 시도 만 15세 이상 국민 1만 명을 대상으로 연령별 문화행복지수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를 통해 문화 여가 활동으로 얻는 행복 정도를 수치화한 '문화여가행복지수'가 올해 70.1점(100점 기준)이었다.

연령별 문화행복지수는 남성이 70.5점으로 여성(69.7점)보다 높았고, 20대(72.6점)가 70대 이상(65.6점)보다 7점 많았다.

가구소득별로는 월 소득 600만 원 이상의 고소득자(73.1점)가 100만 원 미만의 저소득자(64.2점)보다 9점 가까이 높았다.

대도시(70.6점) 거주자가 중소도시(70.3점)나 읍면 단위(68.2점) 거주자보다 문화 여가 활동으로 느끼는 행복 정도가 더 컸다.

문화예술 관람률은 어땠을까?

대도시는 거주자의 75.3%가 지난 1년간 영화나 공연, 미술 전시 등 문화예술행사를 관람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나, 중소도시와 읍면 지역 거주자는 각각 73.0%, 52.7%에 그쳤다.

가구소득별로 월 400만 원 이상을 버는 고소득 가구의 문화예술 관람률이 2012년 82.1%에서 올해 83.8%로 1.7%포인트 오른 반면, 100만 원 미만의 저소득 가구는 같은 기간 26.9%에서 26.6%로 떨어졌다.

고소득 가구와 저소득 가구 사이의 격차는 2년 전 55.2%포인트에서 57.2%포인트로 더 커진 것.

연령별로는 10대(15∼19세)의 94.7%, 20대의 96.4%가 지난 1년 사이 문화예술행사를 관람한 경험이 있었지만, 60대와 70대 이상은 각각 39.8%, 22.0%에 그쳤다.

지역별로는 인천(78.9%), 서울(77.5%), 광주(76.1%)의 문화예술 관람률이 전남(52.2%), 전북(58.2%), 강원(58.5%) 지역보다 약 20%포인트 높았다.

뉴미디어부 maeil01@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