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의 이름 끝에 '~빠이'를 붙여 부르던 친구들이 있었다. ○○이라는 애는 ○○빠이였고, △△라는 친구는 △△빠이라고 불렸다. 그게 무슨 뜻이었는지 누가 먼저 시작했었는지는 알 수 없었지만 언제부터인가 우린 서로를 그렇게 불렀다. 동질감과 친근함의 표현이었던 모양으로, 한동네에 사는 다른 또래들도 있었지만 그 아이들과는 그런 호칭을 나누어주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니 소위 그 '빠이 클럽'이라고 할 수 있는 녀석들은 너덧 명뿐이었다.
한 해에, 혹은 다음 해에 한두 살 차이로 태어나 20년 가까이 모두 다 반경 100m도 안 되는 한마을에서 자란 사이였다.
노상 아침 밥숟가락만 던지고 나면 해가 넘어가는 어둑 저녁이 되어 어른들이 찾으러 나오실 때까지 붙어다녔는데, 뭘 하며 그렇게 놀았는지 지금 생각하면 신기하기도 하다. 뒷동산에 소나무 가지와 가시나무를 얽어 '본부'라고 지어놓고 온 산을 헤매며 총싸움을 하던 기억은 아직도 새록새록하다. 그렇게 지내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누구는 직장으로 또 누구는 대학으로 뿔뿔이 흩어져 갔다. 나도 직장을 따라 타지로 나가며 그만 친구들과의 끈을 놓쳐버리고 말았다.
늘 마음 한구석에는 그 친구들에 대한 기억이 가만히 간직되어 있었지만 그 위에는 세월의 먼지 또한 한 켜 한 켜 쌓이게 되었다.
얼마 전 부친상을 당한 한 읍내 친구의 상가에 갔다가, 그 자리에서 잃어버렸던 그 끈의 한 끄트머리를 다시 잡게 되었고 그 빠이들을 다시 만날 수 있었다. 머리가 살짝 벗겨지기도 하고, 흰머리가 드문드문 보이기도 하였지만 우린 곧장 30여 년 전, 또 그 너머로 달려갈 수 있었다. 그동안 서로가 다른 길 위에서 사느라 만나지 못했어도, 바로 어제까지 만났던 사람들처럼 어색하지 않았다. 그건 추억이라는 공통분모를 서로 공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함께 뭉쳤던 수박 서리, 사과 서리 무용담부터 소 먹이고 나무하고 꼴 베러 가던 이야기까지, 만나기만 하면 옛 추억을 풀어놓기에 바빴다. 이제 더 이상 서로를 빠이라고 부르진 않았지만.
나이가 들어가면서 앞을 보기보다는 뒤를 돌아보게 되는 일이 더 많아졌다. 새로운 일을 찾아내고 추구하기보다 지금까지 걸어온 길, 해온 일들을 돌아보고 성찰하게 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날씨가 추워져서인지도 모르겠다. 지나온 날들을 돌아보면 뭔가 마음 한구석이 따뜻해지는 느낌이 든다. 그 어릴 적이 그리 풍족하고 편안했던 삶은 아니었는데 돌아보면 그래도 가슴이 훈훈해진다.
그리고 그 회상의 중심에 있는 건 아무래도 옛 친구들이다. 그들은 내 생의 가장 맑았던 시기를 함께한 소중한 존재들이기 때문이다. 세상살이가 녹록지 않아 힘들고 지쳤을 때 그 소중한 사람들은 우리가 살아가는 데 힘이 되어주는 법이다. 그들은 내 영혼의 카타르시스를 주는 힘이다. 날씨가 차가워지고 바람이 불 때일수록 그 친구들이 더 소중해진다.
홍헌득 특집부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