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서 만난 매일신문…영남대 학생들 '매일신문 앱 사용 모니터링'
매일신문사가 모바일에서 매일신문을 더 빠르게, 편하게, 쉽게 볼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을 새로 개발한 지 4개월 만에 다운로드 독자가 3만 명을 넘어섰다. 전국 지방언론사 뉴스 앱 가운데 최고의 이용률이다.
모바일 세대인 젊은 층은 매일신문 앱을 어떻게 평가할까? 최근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박한우 교수가 자신의 전공(사이버 커뮤니케이션과 네트워크 분석) 및 교양(인터넷윤리) 과목 수강생들에게 실시한 '매일신문 앱 사용 모니터링' 결과를 소개한다.
◇디자인
학생들은 매일신문 앱이 여타의 뉴스 앱에 비해 정리정돈이 잘돼 깔끔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구도영(도시공학) 씨는 "빨간색과 흰색의 강렬한 조합이 눈에 잘 들어오고 메뉴와 기사 구성이 편하다"고 말했다. 이해정(언론정보) 씨는 매일신문을 상징하는 M자 로고가 "웃는 표정을 연상시켜 친근하다"고 말했다.
'신문'이란 단어가 칙칙한 이미지가 연상돼 별 기대를 안 했지만 매일신문 앱을 보면서 마치 포털 사이트같이 친숙하고 깔끔하게 디자인돼 고정관념이 사라졌다(윤지원'철학)는 의견도 있었다.
◇이용 편리성(UI)
앱은 무선 인터넷망에서 손가락으로 사용하는 만큼 '속도와 편의성' 이 매우 중요하다. 학생들은 이용 편의성에 후한 평가를 내렸다.
서유리(언론정보) 씨는 "간결하다. 가볍고 빠르다. 매일신문에서 이렇게 세련되고 가독성이 뛰어난 앱을 출시했다는 사실에 적잖이 놀랐다"고 말했다. 이 학생은 또 "조선일보, 경향신문과 함께 봤을 때도 전혀 부족함이 없다"며 "오히려 속도 측면에선 더 앞서 있다"고 했다.
마음에 드는 기사를 쉽게 스크랩할 수 있고, 카카오톡 등 SNS 공유도 쉽고 편리하다(김영은'언론정보), 초보자도 부담 없는 동선과 슬라이딩 이동이 간편하다(구도영'도시공학)는 의견도 있었다.
◇콘텐츠
매일신문 앱을 설치하면서 그동안 포털에서 자주 접할 수 없었던 지역뉴스의 매력을 실감했다는 학생도 많았다.
지역뉴스의 장점을 단 한 번도 생각해 보지 않았다는 김수현(정치외교) 씨는 "대부분의 뉴스는 나와는 먼 이야기로 생각했는데 지역 출신 운동선수. 지역 공무원 등에 대한 소식을 접하고 지역에 대한 애착과 정감을 절실히 느끼게 됐다"고 말했다. 또 "자극적, 선정적 제목으로 눈길을 끌려는 점이 거의 없어 만족스럽다"고 전했다. 이지언(문화인류) 씨는 "아침마다 '오늘의 주요뉴스' 알림을 클릭하면서 평소 뉴스를 안 보던 습관도 바뀌게 됐다"고 했다.
이용자들이 직접 정보를 올리고 공유하는 '지금 이순간'은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정보경(언론정보) 씨는 "'지금 이순간'에 올라오는 일상적인 생활정보가 '딱딱한 신문' 이미지를 좀 더 가볍게 느낄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지금 이순간'이 매일신문 앱의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이상규(경제금융학부) 씨는 "지난 기사(정보)가 많아 보완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또한 기능 구현 측면에서는 버그나 큰 오류가 없어 앱 완성도가 높고 검색어로 기사 찾기도 잘 되는 편(김영은'언론정보)이라는 의견도 있었다.
◇서비스
무엇보다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신문 지면도 앱에서 볼 수 있어 좋다는 반응을 보였다. 평소 교내신문 외에는 (종이신문을) 잘 보지 않는데 오른쪽 위의 버튼을 클릭해 종이신문을 볼 수 있는 것이 가장 눈에 띄었다(송주현'언론정보),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매일신문을 볼 수 있어 좋다(백지혜'경제금융)는 의견도 있었다. 또 다른 뉴스앱에서 볼 수 없는 '기사제보' 기능도 인상적이라는 학생들이 많았다.
김지현(국제통상학부) 씨는 "그저 과제로만 여기고 한 번 사용하고 지우려 했는데 며칠째 대구지역 소식을 보면서 집 식구들에게 매일신문 앱 다운을 추천하게됐다"고 말했다.
◇개선점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후한 평가를 내리면서도 개선 사항도 주문했다. 댓글과 조회 수가 높은 기사를 순위별로 제공하면 더 좋겠다(김규리'중국문화정보), 댓글을 확인하려면 새로운 창으로 넘어가 다소 불편하다(이혜정'언론정보)는 의견과 함께 '더보기' 카테고리 구분을 좀 더 구체화할 것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공태호(경영학) 씨는 "앱 사용자가 많은 20~40대 젊은 층을 위해 좀 더 강한 논조의 기사를 써야 독자를 확보할 수 있다"고 주문했다.
언론정보학과 박지원 조교(석'박사 통합과정)는 "수강생들의 사용 후기를 종합한 결과 디자인, 편의성 등 중앙 언론사 앱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며 "'지금 이 순간' 코너는 다양한 이벤트와 포인트제 등을 도입해 이용자들에게 참여 동기를 부여하면 더욱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형 기자 thkim2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