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시민단체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 용납 안돼"

입력 2014-12-09 10:32:34

반대委 "강병여과수 활용하라"

대구 취수원의 구미 이전과 관련해 구미지역 시민단체로 구성된 '구미시 범시민반대추진위원회'는 8일 성명서를 통해 "대구 취수원의 구미 이전은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워져 올바른 질서와 틀을 무시했다"고 밝혔다.

추진위는 또 "그동안 한국개발연구원이나 대구시의 용역에서 (취수원 이전의) 타당성이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그럼에도, 대구시가 야당 정치인을 앞세워 지난해 말 10억원의 쪽지예산을 끼워 넣어 '경북'대구'울산권 맑은 물 종합계획 검토용역'이라는 이름으로 애초 목적과 다른 대구취수원 예비타당성 용역비를 확보해놓고, 인제 와서 '불용, 반납'을 운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대책위는 "대구와 구미의 물 문제에 대해 왜 울산시를 연계하는지도 이해할 수 없다. 대구 취수원을 구미로 이전하면 대구시 일반 가정에서 부담하는 수도요금이 t당 460원에서 630원으로 껑충 뛰어올라 시민 부담이 최소 36% 이상 가중되는데, 이에 대해 대구시민이 정확히 알고 있는지 궁금하다"고 했다.

추진위는 "국토부와 대구시는 강변여과수 활용을 검토하지 않고 취수원 이전에만 목을 매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국토부는 낙동강 대구 하류에서 운영 중인 10개 취수장에서 일일 3천500t을 취수하는 부산, 경남 창원, 김해 등이 구미 상류로 취수원 이전을 건의할 때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대안이 있는지 궁금하다. 만약 그렇다면 전국적으로 너도나도 취수원의 상류 이전을 희망하는 도미노 현상이 나타날 것이 명백한데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라고 물었다.

추진위 신광도 위원장은 "대구 취수원의 구미 이전은 지역개발 저해, 물 부족 등으로 인한 지역경제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고 수량 감소와 수질 오염에 따른 환경변화도 예상된다"며 "물 문제는 물처럼 순리에 따라 해결해야 하며, 이를 빌미로 지역개발사업 제한 운운 등 생트집을 잡는 것에 대해 43만 구미시민의 이름으로 단호히 대처할 생각"이라고 했다.

한편 대책위는 이날 성명을 통해 ▷중앙정부(환경부와 국토부) 차원에서 낙동강 전 수계의 수질보전대책을 추진할 것 ▷강변여과수 등 대체 수원개발을 추진할 것 ▷댐용수 등을 활용한 비상용수 공급대책을 수립할 것 ▷지역갈등 조장하지 말고 민심을 존중할 것 ▷백년대계를 내다보며 현명한 정책을 추진할 것 등 5개 실천사항을 요구했다.

구미 정창구 기자 jungcg@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