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여에 걸친 슈퍼섬유 융복합사업에 이어 섬유산업 고도화를 위한 대구시의 노력이 조금씩 진일보하고 있다. 대구시와 섬유개발연구원이 공동 추진 중인 하이브리드섬유 공정'성형가공 핵심기술 개발 및 사업화 관련 프로젝트가 최근 기술성 평가를 통과해 내년도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대상 사업으로 선정됐다. 최종 평가단계가 남아있지만 그 첫 관문을 통과했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다.
'산업의 옷'으로 불리는 하이브리드섬유는 철강'수송, 전기'전자, 환경'에너지 등 전 산업의 기초 소재로 갈수록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다기능성 산업용 융합섬유다. 이미 한계에 도달한 중'저가 의류용 섬유나 기초단계의 산업용 섬유만으로는 더 이상 견디기 힘든 환경에서 하이브리드섬유 핵심기술 확보는 섬유업계의 미래 먹거리이자 지역 섬유산업 구조를 고도화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자 돌파구다. 반드시 국책 사업으로 선정되도록 필사적인 노력이 필요한 때다.
현재 대구시의 계획은 국비 1천200억 원 등 모두 2천200억 원을 투자해 하이브리드섬유 핵심기술 개발 확보와 사업화, 기술지원사업까지 아우르고 있다. 계획대로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수입대체 효과와 일자리 창출 등 경제적 효과는 물론 우리 섬유산업의 지형도를 확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놓칠 수 없는 사업이다.
다행히 예비타당성 대상 사업에 포함됐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내년에 기획재정부의 최종 평가를 통과해야 하고 본격적인 사업 착수 시점도 빨라야 2016년부터다. 여기에다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고 제대로 결실을 보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만약 선진국과의 핵심기술 격차를 조기에 줄이지 못한다면 한국 섬유산업은 영원히 도태될 수밖에 없는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도 빼놓을 수 없다.
대구시는 지역 섬유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기반 여건을 차근차근 만들어가는 등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지역 섬유업체의 의지와 태도도 중요하다. 과거 대형 국책사업에서 보여준 구태에서 벗어나 신기술'신시장에 대한 개척정신 등 달라진 면모를 보여야 한다. 이번 사업이 수천억 원의 혈세를 낭비한 제2의 밀라노프로젝트가 된다면 더 이상 미래가 없다는 각오로 사업에 임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