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FC 이영진(51) 감독은 이달 24일 제8대 사령탑으로 다시 돌아온 소감을 밝히면서 김기희, 박준혁, 황일수, 이지남 선수에 대해 얘기를 했다. 이 감독은 2010, 2011년 시즌 대구FC를 맡아 이들 선수와 한솥밥을 먹었다.
이 감독은 "이들이 잘 성장해서 K리그 클래식(1부 리그)에서 활약하는 모습을 보면서 지도자로서 흐뭇하고 기뻤다"고 했다.
하지만 그의 말에는 뼈가 있었다. 잘 키운 선수들과 함께 대구FC를 반석 위에 올려놓지 못한 아쉬움이다. 대구FC 부임 때 2+1(2년+옵션 1년) 계약을 한 이 감독은 첫해에는 꼴찌를 했지만, 두 번째 시즌에는 16개 구단 중 12위를 했다. 팀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라 3년 차에는 뭔가 일(상위권)을 낼 자신감이 있었다. 그러나 그는 재계약하지 못하면서 야인으로 돌아갔고, 지난해부터 청주대 감독으로 활동하다 이번에 다시 대구FC 유니폼을 입었다.
그의 컴백은 선수와 코치 시절을 함께 한 조광래 단장이 대구FC에 부임하면서 가능했다. 조 단장이 취임하자마자 축구계에서는 그가 다시 돌아올 것이란 얘기가 나왔다. 그런데 이 감독이 언급한 선수들을 들여다보면 대구FC가 그동안 성적을 낼 수 없었던 요인이 드러난다. 팀의 붙박이로 성장한 이들 선수가 하나같이 팀 운영비 마련이란 명목으로 다른 구단으로 팔려나갔기 때문이다.
골키퍼 박준혁은 2011년 대구 소속으로 K리그에 데뷔한 뒤 2012년 주전으로 맹활약했고, 이를 인정받아 시즌 후 제주 유나이티드로 이적했다. 그는 올 시즌에는 성남FC의 주전 수문장으로 팀의 컵대회 우승을 이끌었다. 중앙 수비수 김기희는 2011년 대구에서 프로 데뷔 후 런던 올림픽 대표팀에 발탁되는 등 주가를 높였고, 카타르 알 사일리아 임대를 거쳐 지난해 7월 전북으로 이적했다. 그는 올 시즌 전북의 핵심 수비수로 활약하고 있다.
측면 공격수 황일수는 2010년 대구에 입단한 뒤 지난해까지 4시즌 동안 대구의 공격을 이끌었다. 올해 제주로 이적해 30경기에서 6골 3도움을 기록한 그는 입대해 내년 상주 상무에서 뛴다. 중앙 수비수 이지남은 2011년 경남에서 대구로 이적하면서 빛을 냈다. 그는 2011~2013년 3시즌 동안 대구의 수비진영을 이끈 후 올해 중국 허난 전예FC로 이적했다.
이 감독은 "예전 호흡을 맞춘 주전 선수들이 모두 떠난 상태다. 하지만 이번에는 1부 리그 승격이란 명확한 목표를 안고 출발하게 됐다"며 "부담스럽지만, 대구시와 구단에서 전폭적으로 힘을 보탠다고 하니 선수단을 잘 구성해 대구 축구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하겠다"고 했다.
김교성 기자 kg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