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에서 육아 휴직을 사용하는 남편들이 크게 늘고 있다. 전반적인 육아 휴직 사용자가 전년 대비 14.4% 늘고 있는 현상과 함께 남성의 육아 휴직 사용자는 지난해 대비 약 160% 늘었다. 고무적이다. 이는 대구'경북이 과거처럼 '출산과 육아는 여성 몫'이라던 가부장적 가치관에서 급격하게 벗어나 남녀 동반성장 시대에 맞는 출산과 육아친화적 지역으로 탈바꿈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남편이 아내의 육아에 동참하는 기류는 출산'육아친화적인 도시 만들기의 핵심 포인트 중 하나이다. 출산과 육아친화적인 도시는 여성이 행복한 도시이고, 여성의 행복지수는 정주 여건과 직결된다. 오죽하면 서울특별시가 여성이 행복한 여행(女幸)도시를 여성정책의 목표로 정하기까지 했을까.
대구'경북의 육아 휴직 사용자 수는 올 들어 10월 말 현재 4천979명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4천352명에 비해 14.4%(627명)가 늘어난 수치이고, 특히 남성의 육아 휴직은 지난해 같은 달 133명보다 59.4%(79명) 늘어난 212명이다. 남성의 육아 휴직이 기업이나 공무원 조직에 다소 불편을 초래할 수는 있겠으나 출산 후 육아기는 아내가 남편의 손이 가장 필요로 하는 힘든 시기임을 감안해서 폭넓게 받아들이는 풍토가 조성돼야 한다.
육아 휴직 남성에 대해 더 이상 못난 놈, 별난 놈, 이상한 놈이라는 편견은 불식돼야 한다. 또한 육아 휴직 급여를 타기 위한 꼼수라는 시각도 금물이다. 물론 고용노동부가 '아빠의 달' 육아 휴직 급여를 통상 한 달 동안 최대 100%(최대 150만 원)까지 지급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단순히 금전 잣대로 남성의 육아 휴직을 볼 문제는 아니다.
남성의 육아 휴직 사용 증가는 여성 혹은 아내들의 일'가정 양립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 왜 한국 여성들이 애를 낳으려 하지 않는지 이해하는 첩경이다. 남성 육아 휴직 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보다 광범위한 지원책과 인식 개선은 대구'경북을 매력적인 지역으로 만드는 첩경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