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 6대3 의견 결정 20대 총선부터 개정 선거구
헌법재판소가 30일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이 헌법 불합치에 해당한다고 결정했다. 선거구별 인구 편차를 현행 3대 1에서 2대 1 이하로 바꾸라는 입법 기준을 제시했다.
헌재는 이날 "최대 선거구와 최소 선거구의 인구 편차가 3대 1에 달하는 것은 위헌"이라며 고모 씨 등 6명이 선거법 25조 2항에 의한 선거구 구역표에 대해 제기한 헌법소원 심판에서 재판관 6대 3 의견으로 헌법 불합치라고 결정했다.
현행 선거법상 선거구는 인구 편차를 최대 3대 1로 허용해 인구 최소 10만 명 이상이거나 최대 30만 명 이하일 때 하나의 선거구가 가능하도록 했다. 하지만 2대 1로 바뀌면 선거구 인구범위는 13만8천984명~27만7천966명으로 바뀐다. 13만여 명보다 적으면 하나의 선거구가 될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선거구와 합쳐지고, 27만여 명 이상이면 선거구를 쪼개야 한다.
헌재는 "인구 편차를 3대 1 이하로 하는 기준을 적용하면 투표 가치의 지나친 불평등이 발생할 수 있다. 투표 가치의 평등은 국민 주권주의의 출발점으로 국회의원의 지역 대표성보다 우선해야 한다"며 "현행법 조항대로 하면 인구가 적은 지역구에서 당선된 의원의 투표수보다 인구가 많은 지역구에서 낙선한 후보의 투표수가 많을 수 있다"고 밝혔다.
헌법 불합치는 해당 조항이 헌법에 위반되지만 사회적 혼란을 우려해 개정 때까지 그 효력을 인정하는 변형 결정이다. 헌재는 선거구 구역표 개정 시한을 내년 12월 31일로 정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