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만 틀면 "돈 빌려드립니다"…금융위 국감 "대부업 광고 규제"

입력 2014-10-15 10:20:41

'무만 아니면 누구나, 1분이면 OK', '전화 한 통화로 단박대출', '누군가에겐 꼭 필요한 서비스'.

고금리와 가혹한 추심과정은 숨긴 채 친서민적인 문구를 내세워 친숙한 이미지만 강조하고 있는 대부업 광고를 규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금융연구원이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금융광고 인식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가 가장 많이 접하고 있는 금융광고는 대출광고(45.6%)를 통해 실제 상담까지 이루어진 경우가 31.5%에 달했다. 지난해 대부업 이용자는 250만명으로 시장규모는 8조원에 달한다.

특히 하루 평균 402회의 대부업 광고가 전파를 타고 있어 케이블TV 시청이 가능한 모든 국민이 광고에 노출되고 있으며 대부업 이용자들의 절반이 TV광고를 보고 대출을 신청하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학영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15일 열린 금융위원회에 대한 국정조사에서 "대부업 광고가 고금리 및 가혹한 추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보다는 친숙한 이미지를 활용하고 쉽고 빠른 대출이 가능하다는 문구를 사용해 금융소비자들의 대출을 유도하고 있다"며 "대부업 광고에 대한 실질적인 규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난 2011년 개정된 '대부업법 시행령'은 경고 문구를 광고에 삽입해 과도한 대출의 위험성을 알리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업체들은 규정을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경고 문구가 최대한 드러나지 않도록 교묘하게 광고를 제작하는 등 꼼수를 부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 의원은 신제윤 금융위원장에게 "대부업으로 인한 금융소비자들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문구 규제, 광고노출 횟수 및 빈도의 적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유광준 기자 june@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