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기상대 지방기상청 승격 유력

입력 2014-10-13 11:11:25

대구기상대의 지방기상청 승격이 가시화될 전망이다.

장하나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환경노동위원회'비례대표)이 공개한 '기상청 조직개편방안 최종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기상청과 지방기상청, 기상대로 분산된 기능을 도 단위 거점으로 기능을 모으고 부산'광주'대전'강원'제주 등 5곳에 있는 지방기상청을 7곳으로 늘릴 계획인 것으로 밝혀졌다. 지방기상청이 신설될 곳으로는 서울, 대구가 유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종하 대구기상대장은 "조직 개편안은 아직 검토 중이며 변수가 많다. 하지만 대구기상대가 지방기상청이 될 가능성은 큰 것으로 보인다"며 "당초 조직 개편안을 만들 때 대구경북에 지방기상청을 만드는 것을 고려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기상청이 기상대를 대거 폐지하는 방안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상청은 전국 45개 기상대 중 32개를 폐지하고 대신 '지역기상서비스센터'를 설치'운영한다. 대구경북에서는 기상대 6곳 중 대구, 안동기상대만 유지하고 구미, 포항, 상주, 울진기상대는 폐지된다.

반면 기상 업무상 공백이 있을 수 있는 '목측관측'(관측자가 직접 보고 관측하는 것으로 시정'운량'기상 현상 등을 말함) 자료의 경우 기상청 퇴직자 모임인 한국기상전문인협회와 기상청 산하기관인 한국기상산업진흥원에 위탁하거나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력체제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과학교사, 이장 등 자원봉사자와 SNS'스마트폰 앱을 통한 제보를 활용해 자료를 얻는 방안도 계획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장하나 의원은 기상청의 핵심 기능을 민간에 위탁한다면 기상업무의 전문성과 공공성을 상실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수년 전부터 이 같은 조직개편 논의가 진행됐으며, 경북에 있는 기상대 4곳이 없어지더라도 기상 서비스에는 공백은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미 안개나 비, 눈과 같은 기상현상을 감지하는 관측 장비 등에 대한 자동화가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

김해동 계명대 환경과학과 교수는 "상주기상대 같은 곳은 인력이 6명에 불과해 관측 외에 기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여건이다"며 "안전행정부가 기상청에 추가 지원을 하지 않는 상황에서 기상인력을 한 곳에 집중해 예보 역량을 키우는 방안이 최선이다"고 했다.

기상청 관측기반국 관측정책과 관계자는 "이미 미국, 일본에서는 관측교육을 받은 자원봉사자로부터 관측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곳의 기상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준표 기자 agape1107@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