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비의 하루/ 이한우 지음/ 김영사 펴냄
'유리 천장'(glass ceiling)이라는 용어가 있다. 여성들의 고위직 진출을 가로막는 사회 내 보이지 않는 장벽을 뜻하는 말로 여성 진출의 보이지 않는 장벽을 뜻한다. 딸도 아들과 똑같이 유산을 상속받던 고려에 비해 이 땅에 가부장적 질서가 통치 이데올로기로 정착돼 남녀 차별이 극심했던 조선에서 유리 천장의 꼭대기에 있는 여성은 왕비였다. 아이로니컬한 사실은 이러한 여성 억압적 질서가 여성 왕비인 인수대비의 손에 의해 확립되었다는 것이다. 을 편찬하면서 여성들을 가부장적 질서 속에 묶어놓은 인수대비는 1476년 7월 17일 아들 성종을 통해 과부의 재혼 금지 및 재가 자손의 벼슬길을 금하는 법제를 확립시킨다. 그리고 이 질서를 기반으로, 성종의 왕권 강화를 꿈꿨던 며느리 윤 씨를 살해한다.
이 책은 남성 권력 사회에서 생존해야 했던 여성 최고 권력가의 복심과 반전의 드라마를 하루라는 시간 안에 녹인 책이다. 의 후속작이기도 하다.
'닭 울음소리의 경계'를 위해 늘 왕보다 일러야 했던 아침 기침에서, 적이며 동지였던 후궁들과의 정치적 투쟁, 그리고 왕권에 도전하는 친정 가문에 전한 편지까지 드라마틱한 왕비의 역사를 들여다본다. 그 과정에서 사필에 의해 짓밟힌 최초의 국모 신덕왕후부터 여성 억압의 문화를 정착시킨 인수대비를 거쳐 왕비로서는 유일하게 정권을 장악했던 명성황후까지 과연 왕비는 무엇으로 권력을 쟁취하고 어떻게 남성 중심 문화에 맞섰는지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왜 지아비를 죽음으로 몰아넣고 누구를 차기 왕으로 선택했는가? 남성 사대부들이 애써 외면하려 했던 그날 하루의 낯선 기록을 통해 잃어버린 역사의 문으로 들어선다. 403쪽, 1만5천원.
한윤조 기자 cgdream@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