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형마트 3사가 유통 매장에 내놓는 상품의 70% 이상을 서울'경기 지역에서 공급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채익 의원이 이마트와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국내 대형마트 3사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이들 3사의 전체 생산품 매입액은 21조8천213억여원으로 집계됐다.
이 중 서울의 협력사로부터 생산품을 매입한 액수는 10조9천40억여원으로, 전체의 50.0%를 차지했다. 경기 지역 생산품 매입액은 5조115억여원이며 비중은 23.0%였다. 두 지역을 제외한 지역들은 매입액 비중이 모두 5%를 밑돌았다.
이처럼 대형마트에 납품하는 업체 분포가 수도권에 편중된 것은 서울'경기 지역에 상품 생산업체가 집중돼 있는 탓도 있지만 대형마트에서 지역 업체에 납품 기회를 주는 데 인색하기 때문이다.
이 의원은 "수도권 매입액이 과도한 것은 대형마트가 효율만을 고려해 본사에서 일괄적으로 매입 계약을 체결하기 때문"이라며 "지방 생산품을 많이 취급하면 그만큼 지역 사회에 기여하는 것인데, 대형마트의 의지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대형마트 3사의 전국 390개 매장 중 지역 특산물 전용 매장을 운영하는 곳은 21개(55.9%)이며 나머지 172개(44.1%)에는 전용 매장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홈플러스의 경우 전국 139개 매장 중 23개(16.5%) 매장에서만 지역 특산물 전용 매장을 운영 중이라고 이 의원은 소개했다.
대형마트 3사의 지난해 기부금 총액은 185억5천900만원이었다. 3사의 매출액 합계(25조8천억여원)와 비교할 때 0.07% 수준에 그쳤다. 3사 영업이익 합계(1조3천700억여원)와 비교하면 1.4% 수준이다.
대형마트 업체별 기부액의 매출 대비 비중은 업계 1위인 이마트가 0.05%로 가장 낮았고, 홈플러스 0.08%, 롯데마트 0.10%로 파악됐다.
이 의원은 "거대 유통사가 이윤만 추구할 게 아니라 지역 경제와 상생할 수 있는 길을 찾아야 한다"며 "대형마트 동반성장지수 평가 항목에 지역경제 기여도 등의 지표가 포함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광준 기자'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