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 한국타이어 주행시험장 건립 추진 재검토 논란이 주민 갈등으로 비화되고 있는 모습은 안타까운 일이다. 기업 유치로 지역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입장과 슬로시티를 보존해야 한다는 주장이 팽팽하게 대립하며 주민 간 감정의 골마저 깊어진 양상이다.
문제의 발단은 지난 지방선거 과정에서 밝힌 이정백 시장의 공약이다. 당시 전임 시장 지지자들이 많았던 주행시험장 편입 지주들보다는 편입에서 제외된 주민들의 불만을 경청한 시장이 사업의 원점 재검토를 천명한 것이다. 그러니 선거가 끝나고 시장이 바뀌자 토지 보상 제외 주민들의 반대 목소리가 커졌고, 상주시가 주행시험장 건립 추진에 대한 행정 지원을 중단해 버린 것이다.
반대하는 주민들의 논리는 이렇다. 타이어 먼지 등 공해로 친환경 농산물 생산이 어렵고, 공갈못 생태계 훼손이 우려되며, 주행시험장의 경제 효과가 미흡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공해 배출 시설과는 거리가 먼 녹색기업(친환경기업)임을 강조하는 한국타이어는 이 같은 주장에 대해 도무지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주행시험장이 들어서면 상주에 수백 명의 고용 창출 및 인구 증가 효과는 물론 10억 원이 넘는 세수 증대가 예상된다는 점도 주목한다.
따라서 공검면 이외의 대다수 시민은 이 문제의 본질이 정치적 갈등과 주민 이기주의의 산물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한다. 일은 순리대로 풀어야 한다. 명분 없는 반대는 지역의 이미지만 하락시킬 것이다. 이정백 시장도 행정 지원 중단이 백지화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주민 의견 수렴을 위한 과정이라고 밝혔다. 한국타이어와 양해각서를 공동 체결한 경북도와도 협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했다.
옳은 판단이다. 상주시는 얼마 전 프로축구팀 상무 연고지 반납을 추진하다가 없었던 일로 한 적이 있다. 과열된 선거 과정에서 나온 잘못된 공약을 인정하고 사필귀정(事必歸正)의 차원에서 펼친 시정의 사례이다. 한국타이어 주행시험장 건립 문제도 마찬가지이다. 이제는 선거 갈등을 넘어 장기적인 안목에서 지역과 주민을 위한 대승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 그것이 이정백 시장이 정치적으로 승리하는 길이기도 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