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예산지원 '지역행복사업' 대구경북 합쳐도 부산의 절반

입력 2014-09-29 11:08:03

400여건 신청에 3분의2 탈락, 부산은 43건에 1조2천억 반영

국토균형 발전을 꾀하고자 박근혜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지역행복생활권 사업'이 생색내기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협력 효과를 낼 수 있는 각 지자체가 공동 사업을 개발해 정부에 제안하면 예산을 지원해주는 이 사업의 탈락률(보완 포함)이 65%에 이른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 장윤석 새누리당 국회의원(영주)이 지역발전위로부터 받은 '지역행복생활권 추진상황 및 향후 일정'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월부터 전국 지역이 시'군 간 협약 등을 통해 56개의 지역행복생활권을 구성, 2천58건의 사업을 지발위에 제안했지만 610건이 탈락했고 728건은 보완 필요 의견을 받았다.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은 사실상 반려로 예산 반영이 이뤄지지 않는다.

이 기간 대구는 102건을 신청했으나 '마을 기업 육성사업' 등 32건(537억)만 반영됐다. '팔공산 행복마을 올레길 조성' 등 34건이 반영 불가 판정을 받았다.

경북은 306건을 신청했으나 '산골철도역사 문화관광자원화 사업' 등 110건(4천998억)만 반영됐고, '소백산 3도 접경 산촌마을 하수도 설치사업' 등 83건이 반영 불가 판정을 받았다.

반영 건수가 많다고 예산이 많은 것이 아니다. 경북은 반영 건수는 가장 많았지만 43건의 부산은 예산만 1조2천438억이다. 대구경북을 합쳐도 부산 예산의 절반도 안 된다.

지발위의 사업 검토가 인색한 탓도 있지만 지자체도 정부를 설득할 만한 사업을 제안하지 못하고 있다고 의원실은 분석했다.

장 의원은 "중앙정부의 의지가 충분하다면 사업방법을 보완해 추진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하며 예산 반영률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