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서각의 시와 함께] 빈 하늘에 걸린 빨랫줄

입력 2014-09-29 07:36:57

정진규(1939~ )

남들도 다 그런다하기 새 집 한 채를 고향에 마련할 요량으로 그림을 그려가다가 늙은 아내도 동참시켜 원하는 걸 그려보라 했더니 빈 하늘에 걸린 빨랫줄 하나와 원추리랑 채송화가 피는 장독대가 있는 집이면 되었다고 했다 남들이 탐하지 않도록 눈에 뜨이지 않게만 하라고 한 마디를 더 덧붙였다 實用도 끝이 있구나! 나는 놀랐다 내 텅빈 實用 때문에 텅빈을 채우려고 육십평생을 소진했구나 아내의 實用이 바뀌었구나 눈물이 한참 났다 이제서야 사람 노릇 좀 한 번 하려고 實用 한 번 하려고 나는 實用의 그림들을 잔뜩 그려 넣었는데 없는 實用의 實用을 아내가 터득했구나 눈에 뜨이지 않게 까지 알아버리다니 다 지웠구나 나는 아직 그냥 그탕인데 마침내 一字無識으로 빈 하늘에 걸린 아내의 빨랫줄이여! 구름도 탁탁 물기 털어 제 몸 내다 말리는구나 염치없음이여, 조금 짐작하기 시작한 나의 일자무식도 거기 가서 잠시 끼어들었다 염치없음이여, 또다시 끼어드는 나의 一生이여 원추리 핀다 채송화 핀다

-『사물들의 큰언니』, 책만드는집, 2011.

사람들은 마음의 집 한 채씩 설계하며 산다. 젊어서는 화려하고 아름다운 집을 꿈꾸지만 나이가 들면 소박한 집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 이 시의 화자도 고향에 집 한 채 짓고 살려고 한다. 평생 고생시킨 아내에게 미안해서 그 집에 아내의 생각도 반영하려고 어떤 집이 좋으냐고 묻는다. 아내의 대답에서 화자는 깨달음을 얻는다.

'눈에 뜨이지 않게'가 아내의 대답이다. 아내는 진정 실용적인 집, 가장 편하게 살 수 있는 집의 의미를 깨닫고 있었던 것이다. 유식한 화자는 굽은 소나무가 잘 자란 소나무보다 편하게 그리고 오래 살 수 있다는 것을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아내의 깨달음에는 미치지 못했음을 아내의 한 마디에서 깨닫는다.

화자는 늘 그냥 평범한 여자로 알아온 아내를 새롭게 인식한다. '마침내 一字無識으로 빈 하늘에 걸린 아내의 빨랫줄이여'라고 감탄한다. 아내의 지혜를 '빈 하늘에 걸린 빨랫줄'에 비유한 것이 이 시를 빛나게 한다.

시인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