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자중지란으로 표류하고 있는 데는 문재인 의원의 기회주의적 처신이 큰 몫을 하고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의 비상대책위원장 영입 추진과 무산 과정에서 드러난 문 의원의 태도는 그런 비판을 충분히 받을 만하다. 현재까지 밝혀진 사실을 종합하면 문 의원은 박영선 원내대표의 이 명예교수 영입에 동의했다. 그러나 당내 강경파가 반대하자 입을 닫았다. 그리고 영입이 없었던 일이 되자 "합리적 보수라면 함께할 수 있다"고 운운하며 뒷북을 쳤다.
문 의원은 영입에 동의했다는 박 원내대표의 주장에 대해 "당내에서 동의를 얻기 쉽지 않다고 했다"고 말했다. 동의한 것이 아니라는 뉘앙스다. 그러나 이 명예교수의 영입에 대해 문 의원이 "외연 확장에 도움이 되는 분이 당을 위해 나서주는 것은 고맙다"고 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문 의원 측도 인정하고 있다. 참으로 헷갈리는 화법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동의인가 아닌가. 명확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을 이렇게 밸밸 꼬는 데서 잘되면 내 탓 못되면 네 탓이라는 기회주의적 발상이 그대로 배어난다.
문 의원의 이런 처신은 이번만이 아니다. 문 의원은 지난 19일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기소권 부여를 요구하며 단식하고 있는 세월호 유가족 김영오 씨를 찾았다가 느닷없이 '동조 단식'에 들어갔다. 그러면서도 진상조사위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부여해야 되느냐에 대해서는 명확한 의견을 내지 않았다. 그리고 김 씨가 단식을 중단하자 슬그머니 단식을 접었다. 무엇을 위한 단식이냐는 비판이 빗발쳤고 차기 당권을 염두에 둔 '정치적 단식'이란 비판까지 제기됐다.
문 의원의 이런 처신은 당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하는데 큰 방해요인이 되고 있다. 노무현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대권 후보를 지낸 중량급 정치인이라면 이렇게 행동해서는 안 된다. 제1 야당으로서 새정치연합이 제자리를 찾으려면 무엇보다 당이 안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문 의원은 안정이 아니라 분란을 야기해왔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런 비판이 근거 없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문 의원의 행동이 입증하고 있다. 이래서는 대권 재도전의 꿈은 그야말로 꿈으로 끝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