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으로 시범사업
정부가 이달 말부터 의료기관 13곳에서 6개월동안 원격의료 시범사업을 강행키로 했다. 이에 의료계와 야당의 반발이 만만치 않은 것으로 전해져 화제를 모으고 있다.
원격의료는 의사가 화상 연결을 통해 환자를 진료하는 것을 뜻하며 원격의료 시범사업이 이달 말부터 서울 송파구와 강원도 홍천 등 지역 보건소 5곳과 명단이 공개되지 않은 동네 의원 6곳과 교정시설 2곳도 참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부가 당초 대한의사협회와 합의했던 4월 시범실시가 무산되자 단독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야당과 의료계의 반발이 더욱 거센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복지부 담당자는 "이번 시범사업은 참여를 희망하는 1차 의료기관과 보건소를 대상으로 시작을 하는 것이고, 9월 말부터 내년 3월까지 6개월간 진행할 생각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원격의료를 하면 거동이 불편한 노인과 장애인, 그리고 도서·벽지 주민이나 교정시설 재소자 등도 손쉽게 진료를 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의료계와 보건의료노조 등은 거세게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무엇보다 원격의료는 의사가 환자를 직접 보지 않기 때문에 오진 가능성이 높고, 비용 부담이 늘어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원격의료 시범사업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원격의료 시범사업, 6개월동안 해본다는데 기다려도 되지 않을까?" "원격의료 시범사업, 의료계와 야당이 반발하는데 정부가 단독으로 추진했구나" "원격의료 시범사업, 환자가 편하게 진료받을 수 있는 건 좋네" 등의 반응을 드러냈다.
한편 원격의료 시범사업에 대해 야당 역시 부정적인 입장이어서 원격의료가 제대로 도입될지는 미지수인 것으로 보인다.
뉴미디어부01 maeil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