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독도… 일하는 특위 '현미경 의정'

입력 2014-09-12 07:03:42

경북도의회 특위활동 활발…원전·독도수호·상생 특위 등 6개 가동

경북도의회가 기존 상임위 외에 다양한 특별위원회 활동을 하며 보폭을 넓혀가고 있다. 사진은 독도수호특별위원회 회의.
경북도의회가 기존 상임위 외에 다양한 특별위원회 활동을 하며 보폭을 넓혀가고 있다. 사진은 독도수호특별위원회 회의.

'일하는 의회'를 표방한 경상북도 의회(의장 장대진)가 기존 상임위원회 활동 외에도 다양한 특별위원회를 가동, 활동폭을 넓혀가고 있다. 도청 집행부가 미처 알지 못하고 있는 것을 지적해 개선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것은 물론, 향후 도민들을 위한 다양한 조례 생산도 기대된다.

전국 원전의 절반이 몰려 있는 경북도인 만큼 경북도의회는 원자력안전특별위원회(위원장 최병준)를 만들어 활동 중이다.

4일 열린 안전총괄과에 대한 업무보고 회의에서 이진락(경주)'김수문(의성) 의원은 "원전 안전 보호물자로 비치 중인 방독면을 살펴보니 방사성 방독면이 아니라 일반방독면이었다"고 지적한 뒤 "실제 사용 가능한 방독면을 확보하라"고 요구했다.

이'김 의원은 "방독면이 어디 있는지 보니 면사무소 창고에 있었다"며 "사고 시 즉각 대처할 수 있도록 원자력 주변 지역 주민들 집에 실제 보급되어야 한다"고 했다.

장두욱(포항) 의원은 도내에 전국 최고의 원자력병원 신설을 건의했고, 이동호(경주) 의원은 원전사고에 대비해 원전 주변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대피 훈련을 주기적으로 해야 한다고 했다. 최병준 위원장은 "의회가 주민들과 현장 점검을 수시로 해 개선점을 찾아내겠다"고 말했다.

도의회는 독도수호특별위원회(위원장 이정호)도 만들어 다양한 활동을 펴고 있다. 독도위원회 역시 4일 독도 관련 주요 업무보고를 받았다.

이정호 위원장은 "일본이 제국주의적 침략근성을 버리지 못하고 해마다 독도 영유권 주장을 반복하고 있어 도의회가 적극적 대책을 세워나갈 것"이라며 "독도 수호를 위해서는 독도 땅을 직접 밟아 보는 것이 무엇보다 효과적이며, 안전한 독도 접안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독도 방파제 사업이 조기에 건설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자"고 했다.

이날 한혜련(영천) 의원은 "독도수호를 위해서는 적극적인 홍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지역 언론사에 관련 글 연재가 중단되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했고, 곽경호(비례) 의원은 "독도재단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남진복(칠곡) 의원은 "안용복 기념관 및 독도의용수비대 기념관이 운영비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운영비 지원강화 및 국고보조금 추가확보에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경북도의회는 원자력안전특별위원회'독도수호특별위원회 외에 예산결산특별위원회'윤리특별위원회'경북대구상생발전특별위원회'지방분권추진특별위원회 등 다양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경북도의회 특별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장 한창화(포항시), 부위원장 최태림(의성군)

윤리특별위원회 위원장 배한철(경산시), 부위원장 윤종도(청송군)

경북대구상생발전특별위원회 위원장 구자근(구미시), 부위원장 이수경(성주군)

지방분권추진특별위원회 위원장 김명호(안동시), 부위원장 황재철(영덕군)

독도수호특별위원회 위원장 이정호(포항시), 부위원장 김창규(칠곡군)

원자력안전특별위원회 위원장 최병준(경주시), 부위원장 장용훈(울진군)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