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대구역세권 1일 이용객 6만여 명 교통거점
2017년 복합환승센터가 조성되는 동대구 역세권의 교통개선을 위해서는 동대구역 일대와 대구 곳곳을 이어주는 연계 교통망 구축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 같은 내용은 대구경북연구원 김수성'한근수 박사가 4일 발표한 '대경 CEO 브리핑' 내용에 포함됐다.
연계 교통시설이란 거점시설과 국가 기간망인 고속도로 및 철도로 연계시켜 주는 도로'대중교통'철도시설 등을 일컫는다.
보고서는 "동대구역세권은 일일 이용객이 6만여 명에 달하는 주요 교통거점"이라며 "그러나 동대구역은 대중교통 경쟁력이 취약하고 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완공되는 2016년에는 그 일대 교통혼잡 가중이 예상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실제 동대구역의 대중교통 수송부담률은 33.3%로 같은 제1종 교통물류거점으로 지정된 서울역(66.2%)의 절반에 불과하다.
보고서는 대중교통의 경우 도시철도를 기반으로 대중교통 연계체계를 강화하자고 제안했다.
▷칠곡지구에서 동대구역으로의 우회구간을 단축하는 '북구청 연계 도시철도'(동대구역~북구청역 4.9㎞) ▷경북대, 경북도청, 엑스코 등의 대중교통 연계를 강화하는 '엑스코 연계 도시철도'(동대구역~엑스코 3.3㎞) ▷동대구역과 수성구민운동장역을 잇는 '수성구민운동장역 연계 도시철도'(동대구역~수성구민운동장역 2.9㎞)가 그것이다.
도로의 경우에는 복합환승센터가 완공되면,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와 승용차 이용객이 집중돼 혼잡 가중이 우려되므로 고속'시외버스의 동선을 분리하는 사업이 필요하다고 했다.
동대구역과 동대구, 팔공산, 북대구 고속도로 IC 간 접근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연계도로 사업도 우선 제안했다.
보고서는 아울러 "중장기적으로 대구시의 신 발전 축인 금호강 주변 지역과 동대구역을 연계하는 대중교통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