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을 공짜로 타는 사람을 '지공'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나는 지공이 된 지 어언 6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지하철만큼 우리 서민에게 더 편리한 교통수단은 없을 것 같다. 목적지까지의 시간 계산이 정확해서 약속 시간 지키기에는 더없는 제일 확실하면서도 편리한 교통수단이다.
풍경 1.
어느 날 지하철 안에서 이런 일이 있었다. 나는 늘 경로석에 앉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그날도 지하철 안이 복잡해서 경로석 앞에 서 있게 되었다.
그런데 경로석에 앉은 아저씨가 나를 보고 "저쪽 젊은 애들 앞에 가서 서면 자리를 양보받을 건데" 하면서 자꾸 재촉을 했다. 그래서 나는 "아저씨 저 학생들과 젊은 사람들도 학교에서 직장에서 힘든 사람들이지 않겠느냐?"며 "우리는 지하철도 공짜로 타는 사람들인데" 라고 했더니, 그 아저씨가 "우리가 얼마나 많은 세금을 냈는데 왜 그럴 자격이 없냐"고 하시며 소리를 지르시며 화를 버럭 내시는 거다. 나는 하는 수 없이 아무 말 않고 슬그머니 그 자리를 벗어났다.
풍경 2.
나는 1호선 종점인 안심역까지 가서 내리는데 율하역쯤 왔을 무렵 차 안이 텅텅 비어 있는데, 초등학교 3, 4학년 정도 되는 두 사내아이가 출입문 앞에서 장난을 심하게 치고 있었다. 다음 역에서 문이 열리면 떨어질 것 같고 다칠 것 같아 그 아이들에게 "얘들아, 그 출입문 앞에서 장난치다 다치면 어쩌니?" 하고 얘길했더니 그 아이들이 나를 빤히 쳐다보며 내가 한 얘길 토씨 하나 틀리지 않고 그대로 되받는 거다. 하도 어이가 없어 다시 내가 잘못 들었나 하여 "위험하다고 할머니가 그런 거다" 했더니 또 그대로 말 흉내를 낸다. 하도 어이가 없어 나 스스로가 계면쩍기도 하고 황당해 얼굴이 확 달아올라 있을 때 옆자리에 계시던 할아버지께서 "고얀 놈들 같으니" 하며 나무라니 그제야 장난을 멈추며 다른 곳으로 자리를 옮겼다.
요즘 아이들이 다 그럴 리 없겠지만 손자 같고 해서…. 내 직업의식이 또 나왔나 하고 스스로를 돌아보며 우리의 교육에 대해 회의가 들었다. 내 아이만 제일이고 남을 배려 못 하고 그저 막무가내로 행동하고 저렇게 자란다면 어떤 사회 어떤 나라로 발전될까 슬펐다.
풍경 3.
젊은 아가씨들이 주로 헐레벌떡 민얼굴로 차 안에 올라와 앉기가 바쁘게 다른 사람 의식하지 않고 자기 집 화장대 앞처럼 화장을 하는 모습을 자주 보게 된다.
처음 그 모습을 볼 땐 참 이해가 안 되었고 조금만 더 부지런하면 저러지 않아도 될 것을 했지만 요즘은 새로 변신해가는 모습을 구경하는 것도 재미로 보고 넘기게 되며 그러려니, 바쁘니까 하게 되었다.
풍경 4.
스마트폰은 왜 그렇게들 보는지? 옆 사람이 타는지 누가 오는지 가는지 그저 스마트폰을 보고 이어폰을 끼워 듣고 모두가 약속이나 한 듯 고개 숙여 스마트폰을 보고 있다. 참 웃지 못할 그림들인 것 같다.
풍경 5.
경로석에 앉은 할머니들의 목소리는 왜 그리도 높은지. 지하철 운행 시 나는 소음과 귀가 잘 안 들려 그런가 보다 하며 이해해 보려 하지만, 특히나 휴대폰 받는 소리는 높은 소프라노다. 옆 사람은 물론 그 칸 안에 있는 사람이 다 들릴 정도로 큰 소리를 내신다. 나이가 들면 학력도 미모도 다 평준화된다고들 하지만 공중도덕은 어디쯤 갔는지 어른들도 자기주장대로니….
이런 여러 가지 풍경들이 우리들 삶의 잔상인 것을. 조금만 더 배려하고 다른 이웃을 돌아볼 수 있었으면 한다. 여름철 덥다고들 하지만 지하철 안은 시원한 우리들의 쉼터 같은 곳. 지하철 속 풍경은 우리들 삶의 긴 여정을 한 편의 드라마처럼 펼쳐보이는 곳이기도 하다. 이런 풍경들이 이젠 낯설지 않고 함께 익숙해져 가고 있어 다행스럽기도 하고 씁쓸하기도 하다.
박명숙(대구 동구 동호로)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