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부권 신공항 수요 타당성에 대한 국토교통부의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면서 대구'경북'울산'경남 4개 시도와 부산의 본격적인 유치전이 시작됐다. 그러나 첫 발걸음부터 건전한 경쟁보다는 꼼수와 수도권의 방해 공작이 앞서 3년 전 이명박정부 때 무산된 전철을 되밟지나 않을까 두려운 마음이 앞선다.
부산시는 갑자기 가덕도 신공항 축소 안을 들고 나왔다. 곧 포화 상태가 되는 김해 공항은 국내선 위주로 사용하고, 가덕도 신공항은 두 개의 활주로를 한 개로 줄여 국제선 전용 공항으로 하겠다는 것이다. 남쪽으로 치우친 가덕도의 입지나 바다를 메워야 하는 엄청난 건설비 때문에 경쟁에 밀릴 것을 우려한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장기적인 국토 균형 발전을 상징하는 남부권 관문 공항 건설이라는 근본 취지에 크게 어긋날 뿐 아니라 지역 이기주의라는 비난에서 벗어날 수도 없다.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가덕도 신공항은 부산 공항이다. 정부가 추진하는 것은 부산 공항이 아니다"라고 지적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수도권의 방해 공작도 시작됐다. 서울의 한 언론은 '경제성 없는 신공항은 국민 세금만 축낼 뿐이다'라며 3년 전 이명박정부 때 타당성이 없다고 결론난 신공항이 정치 논리로 되살아났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기존 중소공항의 적자를 들어 지방 공항의 무용성을 되풀이 했다. 그러나 3년 전 타당성 조사에서 무산됐던 가장 큰 이유가 수도권 이기주의 집단의 집요한 방해에 따른 정치 논리의 결과였다. 당시 정부의 타당성 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어떤 의문도 제기하지 않았으면서 이제 자신들의 입맛에 맞지 않다고 반대하는 것이다. 3년 전의 결과가 공정했는지, 정치 논리에 따른 결정이 아니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 먼저다.
신공항 유치전은 수많은 내'외부의 반대 세력 때문에 공정한 경쟁을 전제해도 힘든 싸움이다. 더구나 신공항은 영남권만의 문제가 아니라 호남과 충청을 모두 아우를 수 있어 수도권을 제외한 전(全) 남부권의 미래가 달렸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부산시는 이러한 점을 명심해 대국적인 차원에서 유치 경쟁을 해야 한다. 다시는 신공항 건설 문제가 지역 이기주의로 치부돼 수도권 집중만 주장하는 세력의 먹잇감이 되어서는 안 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