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당 재협상안 결국 배척, 한국 정치 리더십 벼랑에
양당 원내대표가 성사시킨 두 차례 세월호 특별법 합의안이 모두 무산되면서 한국정치의 리더십이 벼랑 끝으로 몰리고 있다. 특히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국민공감혁신위원회 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당내 강경파와 세월호 유가족 모두에게 배척당함에 따라 사면초가(四面楚歌)에 빠졌다.
새누리당 이완구'새정치연합 박영선 원내대표는 이달 7일에 이어 19일 세월호 특별법 협상 테이블에 마주 앉았다. 7일 합의에 반대하는 세월호 유가족과 새정치연합 내 강경파에 부딪쳐 재협상을 하게 된 것이다. 중간중간 웃음을 띠기도 해 회동 분위기는 비교적 밝았다. 하지만 합의문 작성으로 한숨을 돌렸는가 했던 두 사람은 의원총회에서 다시 한 번 고개를 숙여야 했다.
회동 직후 새누리당 의총장에 들어선 이 원내대표는 '특검 후보 추천위원 여당 몫 2명은 야당과 유가족의 사전동의를 받아 추천하기로 했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 세월호 특별법 합의안을 발표했다. 재합의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몽둥이찜질을 받을 것 같은데 큰절을 할 테니 받아달라"고 했다. 새누리당이 한발 물러선 합의안을 발표하면서 최대한 몸을 낮춘 것이었다.
그는 설명 중간에 "부작용이 있다면 책임지겠다. 원내대표직을 걸겠다"며 호소했다. 분위기는 냉랭했다. '사전동의'를 받아야 한다는 말에 '굴종적 양보'라는 지적도 나왔다.
비공개 의총에서도 소속 의원들의 우려가 쏟아졌다.
조원진 세월호 국조특위 간사(달서병)은 "여당이기 때문에 끈을 놓지 못했다는 것으로 봐주시라"며 이 원내대표를 감싸기도 했다. 김무성 대표도 거들었다. 결국 추인에 이르긴 했지만 박수 소리는 작았다. 한 의원은 "직을 건다는데 어쩌겠느냐. 어쩔 수 없이 받아들였다"고 했다.
여당 상황은 그나마 나은 편이다.
새정치민주연합 박 원내대표는 고립무원이다. 재합의안을 들고 들어선 박 원내대표에게 강경파 의원들은 "유가족 의견을 존중해야 한다"며 합의안 추인을 보류했다. 세월호 가족대책위가 공식적으로 반대를 선언하면서 박 원내대표는 다시 한 번 상처를 입었다. 일부 의원 사이에서는 '박 원내대표를 너무 몰아붙이면 재재협상을 할 수 없으니 정도껏 하자'는 기류가 흘렀고, 유가족 설득을 위해 추인을 유보하자는 쪽으로 분위기가 무마됐다.
박 원내대표는 이튿날인 20일 서울 광화문광장을 찾아 단식농성 중이던 유가족을 만났다. 40여 분간 합의 내용을 설명했지만 쫓겨나다시피 했다. 이어 경기도 안산 유가족 총회장을 찾았을 때도 고성만 오갔을 뿐 설득에는 실패했다. 박근혜 대통령에게 유가족 면담을 요청한 것을 두고는 '결국 안 되니까 청와대 책임으로 몰아세운다'는 비판도 있다. 정치권에서는 "박 원내대표가 두 번의 합의파기로 정치적 치명상을 입었다. 거취까지 고민해야 할 상황이다"는 말도 나온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