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이는 세월호 특별법…커지는 김무성 역할론

입력 2014-08-14 10:29:13

'김 대표, 해결사 면모를 보여주오.'

쉽사리 풀리지 않는 세월호 특별법 처리를 두고 여의도가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를 쳐다보기 시작했다. 지난해 말 장기화되던 철도파업 국면에서 김 대표가 나서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에 '철도산업발전소위원회' 구성이라는 해결책을 제시, 문제를 풀었던 정치력을 보여달라는 암묵적 요구다. 당시 김 대표는 평의원이었다.

14일로 취임 한 달을 맞은 김 대표는 그간 세월호 특별법 협상 정국에서 물러나 있었다. 7'14 전당대회 직후 7'30 재'보궐선거에 올인했고 이후엔 당직개편에 몰두했다. 하지만 세월호 특별법 처리를 두고 여야 원내대표 간 합의가 불발되고 재협상 논란이 불거지자 이번엔 김 대표에게 시선이 쏠린 것이다. 재협상 정국이 김 대표 본인 탓은 아니지만 세월호 특별법 합의파기로 김 대표 리더십이 위기를 맞을 수도 있다는 게 정치권의 해석이다.

김 대표는 세월호 특별법 처리 따로, 민생경제법안 처리 따로라는 입장이다. 13일 당 의원총회에서도 "여야가 세월호 특별법은 그것대로, 민생경제법안은 또 그것대로 분리 처리하는 정치력을 발휘할 시점에 있다. 야당의 협조를 간절한 마음으로 부탁드린다"며 "국회가 정쟁 때문에 본연의 임무인 입법 기능을 상실하면 정치권은 국민과 국가의 역적이 된다"고 밝혔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런 김 대표의 분리 처리 입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박영선 새정치연합 원내대표 겸 비상대책위원장은 김 대표가 "야당에 특검 추천권을 줄 수도 있다"고 한 발언을 들고 나와 김 대표의 결단을 촉구하고 있고, 박지원 국회의원도 "정치력이 뛰어난 김 대표가 세월호 특별법을 풀어달라"고 요구했다.

김 대표는 의총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 대표가 나서는 것은 맞지 않다"고 비켜갔다. 야당에 말려서는 사사건건 야당이 '대표의 결단'을 요구할 수도 있다는 것을 경계한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은 새누리당이 야당의 요구를 계속 외면하면 정치력 부재, 여당 역할 미흡이라는 비판여론이 조성될 수 있다고 본다. 김 대표가 해결사 역할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올 것이란 관측이다.

서상현 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