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민(대구 북구 산격4동)
어두컴컴한 지하를 달리는 지하철을 타다 보면 세상이 암흑투성이라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그것이 착각이라는 걸 알려준 소금 같은 순간이 있었다.
대구역으로 가는 기차를 타고 집으로 가던 나는 안내방송을 듣고 가슴이 철렁했다. 앞서 가던 열차가 사고가 나, 내가 탄 열차는 1시간가량 늦게 도착한다는 것이었다.
택시비가 없는 탓에 불안하고 초조했다. 보던 책이 머리에 들어오지 않았고, 가슴이 방망이질 치는 탓에 저녁에 먹었던 떡국이 올라오는 것 같았다.
대구역에 도착하자마자 버스를 타려고 무거운 짐을 안고 정신없이 뛰었지만, 소용없었다. 내일까지 보고서를 내야 하는 탓에 눈앞이 깜깜했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역으로 가 아무나 붙잡고 통사정을 했다.
역무원들은 항의를 많이 받은 탓인지, 내 말에 귀 기울이지 않았다. 나도 모르게 고함을 지르고 말았다. 결국 역무원들과 실랑이까지 벌이게 됐다.
화를 삭이고 있는데 한 분이 다가왔다. 자초지종을 듣고는 집까지 가는 택시비를 주었다. 순간 안도의 한숨이 나왔다. 고맙다는 인사도 제대로 못 한 게 미안해서, 제복에 적힌 그분 이름을 수첩에 적고는 지하철을 탔다. 자정에 가까운 시간이라 사방이 어두웠지만, 처음 보는 사람에게도 조건 없는 친절을 베푸는 분 덕분에 빛이 보이기 시작했다. 교회 십자가가 내는 한 줄기 빛처럼.
다음 날, 보고서를 다 쓰고 나니 수첩에 적힌 이름이 눈에 크게 들어왔다. 급히 적은 탓에 '민'인지 '문'인지를 알 수 없었지만, 무작정 전화해 '그분을 찾아서 친절 사원으로 추천해 달라'고 했다.
이틀 뒤 전화가 왔다. 그분을 찾았다는 것이었다. 알고 봤더니 한 달 전에 결혼한 새신랑이었다.
그날 이후로 지하철을 탈 때마다 쏟아지는 한 줄기 빛을 느낄 수 있었고, 나도 빛이 되고 싶다는 간절함이 샘솟았다. 이제 지하철을 타는 시간은 암흑이 아닌 광명의 순간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