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이 불안하기 짝이 없다. 가혹한 구타에 시달리던 윤 일병 사망 사건이 터지더니 같은 28사단에 근무하던 병사 2명이 동반 자살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그 다음 날에는 사격 훈련을 하던 3군 사령부 직할 부대 병사가 자신의 총으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자살한 3명은 모두 관심병사였다. 윤 일병을 구타 사망케 한 이 모 병장도 소위 관심병사였다. 군이 특별 관리하겠다며 '관심병사'로 분류하고선 실제론 방치해 발생한 일들이다. 사고가 터지면 그 원인을 관심병사 탓으로만 돌려서는 국민 불안을 해소하기 어렵다.
관심병사의 정식 명칭은 보호관심병이다. 군 생활 적응이 힘들거나 심리적으로 문제가 있어 특별 관리하겠다며 도입된 제도다. 입대 전 병무청 신체검사에서의 인성검사나, 입대 초기 가입소 기간에 행해지는 인성검사, 군생활 중 지휘관과의 면담 등을 통해 선별된다.
올해 6월 말 현재 관심병사로 분류된 현역병은 모두 8만 800명, 전체 현역 병사의 23%에 이를 정도다. 이 중 자살 우려자, 사고 유발 고위험자를 정도에 따라 A'B급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경미한 자는 C급으로 분류해뒀다. 현재 A급 관심병사만 8천600여 명, B급 관심병사는 1만 9천500여 명이 입대해 있다. 관심병사에게는 보다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지금처럼 지정만 해 두고선 방치한다면 애당초 이런 제도를 운영하지 않음만 못하다. 관심병사로 분류되는 자체를 치욕으로 생각하고 기피하게 된다면 문제를 더 악화시킬 따름이다.
관심병사는 피하거나 왕따시킬 대상이 아니라 그야말로 보호하고 보듬어야 할 대상이라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군은 물론 사회 전체적으로 관심병사들이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통로를 열어줘야 한다. 장병들이 사고를 치는 것은 그야말로 아무 곳도 의지할 데가 없어서일 경우가 많다. 강제 징집으로 입대한 상태서 그릇된 군대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게 되면 극단적인 선택으로 흐르기 십상이다. 관심병사들이 더 이상 홀로 상처받지 않고 도움을 통해 현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제도 마련을 통해 군은 병영 문화를 개선해야 한다. 그래야 군을 향한 국민 불안도 덜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