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일병 폭행 사망 사건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삭지 않고 있다. 자식을 군에 보내야 하는 부모들로서는 과연 내 자식을 군에 보내야 하는지 불안하고. 자식을 군에 보낸 부모들은 내 자식이 잘 있는지 의심하고 있다. 이 모든 분노와 불신은 폐쇄된 병영 문화를 고집하고 있는 군이 자초한 일이다.
윤 일병 사건은 곪을 대로 곪은 군 내부의 상처가 터진 대표적 사례다. 이 사건 전에 이미 얼마나 많은 윤 일병 사건이 있었을지 국민들은 알 수 없다. 다만 "이건 군대에서 벌어지는 내용 중에 일상"이라는 대통령 소속 의문사 진상규명위원회 전 조사관의 증언을 심각하게 받아들인다. 수백 명의 사망 사고 피해 유족을 만나 증언을 들었던 이 조사관은 구체적인 내용을 보면 윤 일병 사건이 특별한 케이스가 아니라고 했다. 실제로 지금 이 순간에도 군에서 자식을 잃은 수백 명의 부모들이 자식이 죽은 진짜 이유를 찾기 위해 활동하고 있다.
치부를 드러냈으니 이번에야말로 그릇된 병영 문화를 확 뜯어고칠 기회다. 더 이상의 윤 일병 사건은 막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가 필요하다. 먼저 군 내 반인권적 사태가 발생했을 때 숨기려 한 지휘관에 대해서는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강력히 처벌해야 한다. 드러냈을 때보다 숨겼을 때의 처벌이 훨씬 무거워야 사건을 숨기려는 악습을 뿌리 뽑을 수 있다. 지휘관이 쉬쉬하다 적발되면 결코 무사할 수 없다는 인식을 갖게 해야 한다.
다음으로 군 내 폭력 사태나 가혹행위가 발생할 경우 이를 어떻게든 내'외부에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군사기밀'이니, '명령 체계 준수'니 하는 이유로 명백한 불법 행위를 숨길 수는 없다. 당장은 숨길 수 있어도 언젠가는 들통난다는 사실이 확인돼야 군내 가혹행위나 이를 은폐하려는 시도를 뿌리 뽑을 수 있다.
군내 가혹행위는 범죄행위일 따름이다. 군의 생명인 전우애를 없애 유사시 전투력을 좀먹는 요인이다. 군 수뇌부부터 이를 방조'은폐하는 자체가 범죄라는 것을 알아야 한다. 모든 지휘관들이 군내 폭력 및 가혹행위는 군과 국가, 국민을 위해 공개하는 것이 차라리 낫다는 인식이 들도록 법적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