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에볼라, 철저한 예방과 현지 방문 자제로 막아야

입력 2014-08-04 11:06:00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아프리카에서 여름휴가를 계획했던 여행객의 취소가 잇따르는 등 국내에도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지난 주말 청와대 게시판에는 국내 한 대학이 주최하는 국제행사를 위해 방한할 아프리카 참가자의 입국을 막아달라거나 의료봉사를 위해 서아프리카 현지로 출국할 예정인 국내 종교단체의 출국을 금지해야 한다는 네티즌들의 청원이 봇물을 이뤘다.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과민반응일 수도 있지만 자칫 예방수칙을 소홀히 하다 피해가 국내에도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세계보건기구(WHO) 발표에 따르면 지난 2월 기니에서 첫 감염자가 보고된 이후 시에라리온, 라이베이라 등으로 확산돼 지금까지 감염자 1천440명 중 826명이 사망했다. 1976년 에볼라 바이러스 발견 이후 가장 큰 피해 규모로 이들 세 나라는 이미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에볼라 바이러스는 감염자의 체액과 분비물, 혈액 등을 통해 전파돼 열과 오한, 두통 등의 증상을 보이며 심할 경우 열흘 내에 사망에 이르는 등 치사율이 90%로 매우 높다. 아직 백신조차 없다는 점에서 그만큼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가 클 수밖에 없다.

홍콩에서 의심환자 발견 소식이 전해지는 등 전 세계적으로 에볼라 바이러스 확산 우려가 높아지자 외교부는 1일 '특별여행경보'를 발령해 피해 발생국인 기니,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여행을 금지했다. 보건당국도 서아프리카를 방문한 우리 국민 중 의심 환자가 발생할 경우 최대한 입국을 지연시키고 현지에서 격리 치료를 받도록 외교부에 협조를 요청했다. 자칫 현지 여행객이나 외국인 감염자가 아무런 제재 없이 국내에 들어와 바이러스를 옮길 경우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당국의 이런 조치는 시의적절하다.

보건당국은 무엇보다 입국 단계에서 감염 의심자를 철저히 감시하고 격리조치하는 등 치밀한 예방대책을 세워야 한다. 이에 못지않게 국민의 협조도 중요하다. 여행금지 등 정부의 권고를 따르고 가급적 현지 방문을 자제해야 한다. 감염 위험성을 경고했음에도 막무가내로 현지에 갔다가 감염돼 국가 전체를 위험에 빠뜨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