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 "취수원 이전, 일방적 논의 안될 말"

입력 2014-07-30 10:40:49

국토부 '경북·대구·울산권 맑은 물 공급사업' 용역 추진에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문제가 4년째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는 가운데 국토부가 '경북'대구'울산권 맑은 물 공급사업' 용역을 추진하자 구미지역의 반대운동이 다시 불붙고 있다.

대구취수원 구미이전 반대추진위원회(이하 구미반추위)는 28일 성명서를 통해 "국토부, 대구시, 한국수자원공사는 구미시민을 무시하고 외면한 채 일방적, 편파적, 형식적인 관행으로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상호 협조하거나 상생하려는 노력 없이 힘의 논리나 정치적으로 해결을 도모하고자 한다면 감정의 골만 더 깊어질 것"이라고 했다.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과 관련, 구미시는 ▷행정기관 간 이해관계 조율을 위해 용역기간 3년 연장 ▷취수원 이전을 기정사실화한 후 짜맞추기식 용역이 지역 갈등을 조장하고 있는 만큼 객관적, 합리적 용역 추진 ▷낙동강 수계 수질 보전을 위해 구미시 취수원을 강정보로 이전해 취수하는 역제안 ▷강변여과수, 대체수원(소규모 식수댐) 개발 ▷낙동강 수량이 부족하지 않다는 객관적 근거자료 제시 등을 국토부 등에 요구하고 있다.

이달 23일 국토부는 서명수 수자원정책국장 주재로 '경북'대구'울산권 맑은 물 공급사업' 관련 관계기관회의를 열었다. 이날 구미시 최종원 부시장은 "충분한 협의 없이 일방적 취수원 이전 추진은 부당하다. 공단폐수 등 오염원 차단 및 저감 방안을 모색해 낙동강 수계의 전반적인 수질보전 대책을 마련하면 취수원 이전이 필요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김부섭 환경녹지국장은 "대구시민이 마시는 수돗물 중 70%인 55만t을 낙동강에서 취수한다. 구미공단에서 발생하는 하루 20만t의 하수처리 방류수에 포함된 1천380여 종에 달하는 미량의 유해물질이 낙동강에 유입돼 식수를 위협하고 있다"며 "대구시는 국토부의 정책 결정에 대해 100% 협조할 생각이다. 구미시도 협조해 달라"고 했다.

이날 회의 분위기가 지역에 전해지자 구미반추위는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구미반추위 측은 "현재 추진 중인 조사용역을 즉시 백지화하고 낙동강 수계의 수질보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대구 물은 대구에서, 울산 물은 울산에서 해결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했다.

구미반추위 신광도(78) 위원장은 "대구 물 문제는 중요하다. 아울러 경북과 대구가 상생을 도모하는 시점에서 서로 돕는 것이 당연한 도리다. 그러나 상생협력도 기본적인 룰과 과정을 무시한 채 함부로 진행돼서는 곤란하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