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본지의 '영덕 천지원전 원점 재검토' 보도가 나간 후 영덕군과 탈핵단체 등의 전화통에 불이 났다. 군민소통위원회 산하 원전소위원회(이하 원전소위)를 통한 '원점 재검토'를 '원전 유치 백지화'로 해석한 군민'관련 기관 등이 사실확인에 나선 것이다.
이희진 영덕군수와 간부들의 말을 빌려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안 되는 것을 무리하게 추진하지 않을 것이며, 모든 것을 순리대로 추진하겠다"라는 것이다.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안전을 비롯한 원전의 모든 것을 한번 되짚어보자는 것이다. 이 때문에 논의 과정에서 안전에 대한 담보가 군민들을 납득시키지 못한다면 주민투표도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 될 수 있음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원전 논의의 장이 될 원전소위는 선거과정에서 수렴된 군민의 의견을 반영해 구성하는 것이라고 했다.
현재로서는 수명이 다된 원전의 '폐로'(원전을 해체하고 그 자리를 원상복구) 기술이 아직은 미완성 단계라는 것이 원전 전문가들의 증언이다. 원전 건설에 따르는 기간 및 비용보다 폐로를 위한 기간과 비용이 더 길고 많이 든다는 것도 공공연한 사실이다.
원전이 건설되어도 넘어야 할 산이 있다. 생산된 전기를 보내기 위한 고압송전탑 설치 문제가 불거질 것이다. 현재 청도와 밀양에서 주민들의 강력한 저항이 벌어지고 있다. 이들도 처음에는 고압송전탑에 무관심했다. 하지만 송전탑에 가까운 집에 대해서는 금융기관이 담보로 인정해주지 않자 단순히 금전적인 문제 이상의 무언가가 있다고 판단하고 반대운동에 나선 것이다.
영덕은 지난 2012년 지역발전의 마지막 지렛대로 원전을 택했다. 하지만 원전에 대한 다양한 정보제공이나 논의과정이 부족했다는 점에 대해서는 원전 유치를 찬성하는 측이나 반대하는 측이나 모두 공감한다. 지난해 화력발전회사들이 영덕 입지를 위해 열린 설명회에서도 주민들은 막연히 발전소 지원금만을 홍보하는 행태를 강하게 질타했다.
발전을 위한 종잣돈이 필요했다는 유치 찬성론에 이의를 달고 싶은 생각은 없다. 하지만 원전이 들어온다면 돌이킬 수 없다. 원전은 미래 100년을 담보로 사채를 쓰는 것과 마찬가지다. 안전에 대한 논의와 군민 전체의 합의가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또한 유일하게 남은 교통오지 경북 동해안벨트에 동서4축'남북7축 고속도로와 동해중부선 철도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이를 통해 원전 이상의 획기적인 영덕 발전 방안을 찾을 수도 있지 않을까.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