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회 CEO 600명 조사
중소기업 10곳 중 8곳은 남북 통일이 되면 북한에 진출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최근 중소기업 경영인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통일 이후 북한에 진출할 계획이 있다는 답이 78%(적극 진출 15%'진출 12.3%'상황을 봐서 진출 50.7%)에 달했고, 통일이 중소기업 경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답도 82.3%나 됐다.
통일에 따른 긍정적 요인(복수응답)으로는 내수시장 확대(51.8%), 북한인력 활용(47.2%), 새로운 사업기회 제공(35.7%), 북한 지하자원 개발(27.5%) 등이 꼽혔다.
부정적 요인으로는 통일비용 부담(45.3%), 사회'경제적 혼란(37.5%), 미래 상황 불투명(11%) 등이 지목됐다.
통일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선 통일비용이 분단비용보다 더 든다고 보는 응답자(41.1%)가 적게 든다고 보는 응답자(33.2%)보다 많았다.
남북 통일 환경이 어떻게 변할지에 대해선 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44.5%)이 가장 많았고, 호전 34.5%, 악화 21%로 각각 나타났다.
통일 시기로는 20년 이후를 꼽은 응답자가 40.3%였고, 이어 6∼10년 19.8%, 16∼20년 19.3%, 11∼15년 18.3%로 뒤를 이었다.
통일의 중요성에 대해선 중요하다는 답(매우 중요 52.5%, 다소 중요 20.3%)이 중요하지 않다는 답(9.1%)보다 훨씬 많았다. 그 이유로는 경제적 대도약 기회(47.1%), 민족의 동질성 회복(17.7%), 안보리스크 해소(16.5%), 동북아 주도권 확보(10.3%), 국가 위상 제고(7.8%) 등이 꼽혔다.
그러나 통일 경제에 전혀 준비를 안 했다는 중소기업 경영인이 62.9%나 됐다.
노경석 기자'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