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왕소나문 천연기념물로 지정하라
2년 전 여름, 본지 창간기념호 특집 취재를 위해 대왕소나무(천년대왕송)를 만나러 울진을 찾았다. 당시 산림청 허가를 받아 산림유전보전지역 내에 있는 대왕소나무(수령 750∼1천 년으로 추정)를 만날 수 있었다. 울진군 소광리 깊은 산 속 해발 800∼900m에 이르는 능선에 동북쪽으로 주변의 모든 산들을 다스리는 듯한 자세로 자리 잡고 있었다.
고려시대와 조선왕조 500년 그리고 대한민국 근현대사를 굽어본 이 신목(神木)이 세찬 비바람과 거센 눈보라를 이기고 위풍당당하게 서 있었던 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 그 모습에 압도돼 말문이 막혀 그저 바라만 보다가 이내 정신을 차리고 소나무를 자세히 봤다.
등산로 쪽으로 뻗은 가지 2개가 톱으로 잘린 흔적이 또렷했다. 사진을 찍기 위해 인위적으로 잘라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주변 나무들도 정리된 흔적이 남아있었다.
기자는 불현듯 소나무 사진으로 유명한 한 작가를 떠올렸다. 울진군 관계자 등 동행한 일행들도 "그 사람이 아니면 이렇게 할 사람이 없다"며 열변을 토했다. 그러나 당시에는 아무런 물증이 없던 까닭에 그 정도로 끝내고 말았다.
애초 대왕소나무를 찾기 위해 장국현 사진작가에게 전화를 걸어 안내를 부탁했다. 하지만 작가는 "아무나 가기 힘들다. 며칠 걸릴 수도 있다. 바쁜 일정 때문에 동행할 수 없다"고 딱 잘라 거절했다. 이 때문에 기자는 수소문 끝에 울진군청 직원의 도움으로 신목과 마주할 수 있었다.
2년여가 흐른 지금 이 사진작가의 대왕소나무 가지 훼손 및 주변 소나무 벌목이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다. 네티즌들은 이 기사를 접한 뒤 '벌금 500만원은 너무 약하다. 실형을 선고해야 한다'고 아우성이다. 대왕소나무를 직접 본 기자로서는 분통이 터지고, 가슴이 답답하다.
문화재청'산림청'울진군청 등에 강하게 외치고 싶다. 2년 전 기사에도 썼지만, 이 신목을 하루라도 빨리 천연기념물로 지정해야 다른 훼손을 막을 수 있다. 대왕소나무가 일찌감치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더라면, 이 사진작가는 여지없이 실형을 받았을 것이다. 장국현 사진작가는 이 신목을 자신의 소유물쯤으로 생각했을까? 안타까워서 눈물이 날 지경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