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생태계 위협하는 폐수 무단방류 업체 엄벌해야

입력 2014-07-07 11:05:32

대구의 상당수 업체가 폐수를 무단방류하고 있어 하천 생태계와 시민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의 최근 폐수 배출업소 지도 점검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의 경우 1천650곳 중 87곳이 규정을 어긴 것으로 밝혀졌다. 그 중 처리가 덜 된 폐수를 내보낸 '배출허용 기준초과'가 33건으로 가장 많았고, 처리 설비를 신고하지 않은 채 가동한 '비정상 운영과 무허가설비 이용' 등이 5, 6건에 달했다.

한 택시업체는 세차와 정비 과정에서 나온 허용기준을 초과한 폐수를 강으로 흘려보냈는데, 그 변명이 구차하다. 폐수 처리에 드는 전기를 아끼려고 큰 통에 폐수를 모아 한꺼번에 버리곤 했는데도, 배출 허용기준을 넘을 줄 몰랐다는 것이다. 환경에 대한 시민의식이 요즘처럼 높아진 세상에 기름때 낀 폐수를 무단으로 방류하고도 괜찮을 줄 알았다는 게 말이 되는가.

한 금속 도금 업체는 폐수 배출 시설에 대한 가동 신고도 없이 운영하다 적발되었는데, '공장 문을 여는 데 정신이 없어 신고해야 하는지 여부를 미처 몰랐다'는 핑계를 내놓았다. 일부 카센터와 세차장은 폐수방지시설 운영일지를 쓰지 않은 채 '인력이 부족하고 바빴다'는 이유를 댔다. 그러나 사실은 적당히 폐수를 처리해도 걸리지만 않으면 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생각이 앞섰기 때문일 것이다.

지난 2010년에도 비슷한 단속결과가 나온 것을 보면, 그동안 유독성 폐수를 지속적으로 무단 방류하고도 적발되지 않은 업체가 있을 수 있다. 양심불량 업체들은 심야 시간대에 비밀 배출구와 하수구를 통해 폐수를 방류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장마철 강이나 하천물이 불어나는 틈을 타 폐수를 몰래 흘려보낼 가능성도 크다. 감시의 눈길을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

폐수 처리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는 금호강과 낙동강의 수질과 토양을 오염시키고,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해도 괜찮다는 말인가. 유독성 폐수 방류는 생태계 파괴와 함께 주민 건강 훼손과 직결되는 문제이다. 위반업체들을 솜방망이 처벌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민관합동점검 등 환경 당국의 끊임없는 단속도 필요하지만, 업체 스스로 환경오염의 심각성과 범죄성을 깨닫는 게 더 중요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