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등 현안 논의
박근혜 대통령은 3일 오후 한국을 국빈 방문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갖고 북핵문제를 비롯한 양국 관계 발전방안과 대일(對日) 공조 방안 등을 논의한다.
시 주석의 이번 방한은 북한과 일본보다 먼저 이뤄지는 것으로, '전략적 동반자관계'를 포함해 동북아시아 외교지형과 역학관계가 이번 방한을 계기로 어떻게 진행될지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한일'중일 관계 악화에 따른 동북아 불안 해소와 북한 비핵화 문제, 일본 우경화에 대한 공조 등 양국의 공동 이익을 위한 상호협력관계 확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또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 등을 통한 경제협력의 외연도 넓힐 전망이다.
특히 두 정상이 정상회담 후 발표할 공동성명에 북핵 문제와 관련해 어떤 내용을 담을지 주목된다. 우리 정부는 이번 성명에 '북한의 4차 핵실험 반대' 등 직접적이고 진전된 대북 메시지를 담을 것을 요청하며 물밑 조율 중이지만, 중국 측은 '한반도 비핵화'라는 문구를 고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담화의 훼손과 집단자위권 행사를 위한 헌법 해석 변경 등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부의 도발에 대한 공동대처와 강력한 경고를 담은 메시지도 공동성명에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또 한중 양국 국민의 영사보호 강화를 위한 영사협정을 체결하고, 원-위안화 직거래 시장 개설, 한중 FTA 협상촉진에 합의하는 등 10여 개의 협력문건에 서명한다.
한편 시 주석의 이번 방한에는 왕후닝 당 중앙정치국위원 겸 중앙정책연구실 주임, 리잔수 당 중앙정치국위원 겸 중앙판공청 주임, 양제츠 외교담당 국무위원 등 부총리급 인사 3명이 수행하고,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쉬사오스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 가오후청 상무부장, 류허 중국 중앙재경영도소조판공실 주임 등 장관급 인사 4명을 포함해 총 80여 명이 수행한다. 이 중에는 중국의 대기업 CEO를 포함한 200여 명 안팎의 경제계 인사들도 포함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