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혁신도시 공공기관, 감정원처럼 지역 인재 채용 늘려야

입력 2014-06-26 10:59:07

대구'경북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9개 기관이 합동 채용설명회를 열어 올해 채용 예정 규모 659명의 7.7%인 51명을 지역 대학 출신으로 뽑겠다고 밝혔다. 한국감정원은 35명 가운데 8명(22.8%)을 뽑을 예정이지만, 100명 이상 채용할 계획인 한국가스공사는 200명 가운데 15명(7.5%), 한국도로공사는 143명 가운데 5명(3.5%)만 뽑을 예정이다. 이 숫자는 이전 기관이 지역 균형 발전과 청년 일자리 창출이라는 혁신도시 건설 정책의 기본 틀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혁신도시가 지역 발전에 이바지할 것이라는 지역민의 바람을 외면한 생색 내기에 지나지 않는다.

이들 기관이 지역 대학생에 대해 제대로 배려하지 않는 것은 정부의 의지 부족 때문이다. 실제로 이번 합동 채용설명회만 하더라도 국토교통부가 주관했지만, 각 기관의 준비는 부족했다. 기관별로 지역 대학 출신 채용에 대한 이해도가 들쭉날쭉했고, 아무런 내부 기준을 마련하지 않아 어떤 방식으로 뽑을 것인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했다. 일부 기관에서는 국토부가 밀어붙이기 식으로 설명회를 강행했다는 볼멘소리가 나왔다. 또, 이번 행사에는 대구'경북 혁신도시에 이전할 33개 기관 가운데 3분의 1도 안 되는 9개 기관만이 참여했다. 이는 정부가 국토부를 내세웠지만, 실제 행사는 몇몇 참여 기관이 형식적으로 치렀다는 것을 보여 준다.

모든 것이 서울과 수도권에 집중되는 현실에서 혁신도시 건설은 대구'경북뿐 아니라 수도권을 제외한 모든 지역민에게 미래의 희망을 줄 국가적 프로젝트다. 이 때문에 정부는 혁신도시가 지역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정착할 때까지 관리 감독할 책무가 있고, 이전 기관도 정부의 방침에 따라야 한다. 혁신도시는 정부의 의지와 이전 기관의 적극적인 협조가 있어야만 성공할 수 있다. 먼저 정부는 각 기관이 최소한 한국감정원이 제시한 채용 규모 이상으로 지역 대학 출신을 뽑을 수 있게 하는 가이드 라인을 만들어야 한다. 채용 방식에 대해서도 지역 실정에 맞는 기준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이전 기관도 자율성이나 기관 이기주의에 앞서 지역 발전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최신 기사